목차
들어가는 글: 기후위기 시대, 국가를 다시 생각한다
제1부 녹색전환과 녹색국가에 대한 탐색
제1장 녹색국가란 무엇인가?
1절 녹색과 국가 다시 보기
2절 녹색의 국가론 모색
3절 녹색국가의 개념과 유형
4절 녹색국가의 특성과 역할
5절 녹색국가의 등장 과정과 논의 동향
제2장 왜 녹색국가인가?
1절 갈수록 심각해지는 생태위기 문제
2절 녹색전환의 시대적 의미와 방향 찾기
3절 녹색전환을 위한 국가 역할 확인
제3장 녹색전환 과제와 국가 역할 진단
1절 ‘국가주의’와 국가의 전환 역량 확대 방안
2절 ‘성장주의’와 탈성장 전환의 과제
3절 ‘소비주의’와 대안적 실천의 과제
4절 ‘민주주의’의 딜레마와 생태민주주의 역할
제4장 녹색전환 영역과 국가 역할 탐색
1절 생태복지와 국가 역할
2절 녹색전환에서 과학기술과 국가 역할
3절 전환사회의 토대로서 농업과 국가 역할
4절 인구 문제에 대한 전환적 접근과 국가 역할
제2부 한국의 녹색국가 진단과 구상
제5장 한국의 녹색국가 조건과 가능성
1절 개발국가 및 토건국가와 한국
2절 한국의 국가 발전 경로와 성격 진단
3절 발전 모델의 변화와 질적 전환 사이에서
4절 한국 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녹색전환의 과제
5절 한국의 녹색국가 등장 조건과 가능성 탐색
제6장 국가의 녹색화 -정부와 헌법의 녹색화
1절 녹색국가의 전략적 구조와 구성 원리
2절 정부의 녹색화
3절 헌법의 녹색화
제7장 국가를 통한 녹색화 -경제, 농업, 지역, 한반도, 지구의 녹색화
1절 경제의 녹색화
2절 농업의 녹색화
3절 지역의 녹색화
4절 한반도 녹색화와 평화녹색국가
5절 지구의 녹색화를 위한 책임 있는 역할
제8장 녹색국가로의 전환 주체와 동력 -시민사회와 정치의 녹색화
1절 녹색전환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
2절 시민사회의 녹색화
3절 정치의 녹색화
제9장 녹색국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
1절 녹색국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2절 녹색국가, 입체적이면서 맞춤형으로 다가가기
3절 녹색국가 실현을 위한 조건 만들기
4절 녹색전환과 녹색국가로의 이행 전략
마무리 글: 녹색국가, 꿈을 현실로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