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제1부 소득불평등 사회, 빈곤영속화 시대
우리 사회가 불평등이 강요되고 빈곤이 영속화되는 시대로 가고 있는가? 23
1. 분배 없는 사회
하위계층의 확대 26
분배 없는 혁신의 시공간 42
기술혁신, 시장탈취, 노동착취 54
2. 소득증발과 부채증가의 시간
소득감소와 소득증발, 부채의 함수 74
금융자본주의의 폭력적 차별과 소득증발 80
자산불평등 사회와 소득증발 87
3. 소득불평등 사회, 빈곤영속화 시대
왜곡된 분배구조를 강제하는 사회 104
최저임금, 노예계약을 강요하는 사회 126
제2부 ‘탈’배제의 성장과 ‘탈’감세의 정치, 우리의 시대적 과제
탈소득불평등과 신자유주의 청산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부여받은 문재인정부는 전환의 토대를 구축했는가? 139
1. 신자유주의와 배제의 성장 시대, 이후 경제질서 재편
신자유주의가 강요한 소득불평등 142
경제질서 재편의 두 축과 소득불평등의 관계 159
2. 배제의 정치와 긴축의 시대
왜곡된 분배구조의 변혁과 시대적 과제 184
시대적 과제와 문재인정부의 정책후퇴 197
감세와 배제의 정치 연장과 강요된 빈곤 208
제3부 예고된 대항의 시간
소득불평등의 역동성을 재구성하여 변혁적 사고의 지평을 넓혀보자 243
1. 권위주의적 사회경제와 소득불평등의 역동성 245
2. 소득불평등의 역동성과 대항적 행동의 조응 267
3. 공감과 연대를 위한 전망과 대항운동의 ‘복기’ 295
참고문헌 318
찾아보기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