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양극화 대한민국, AI에게 답을 찾다
1장. 부의 세습, 이제 멈추어야 할 때
1. 부의 사다리, 금융 교육에서 찾다
2. 포용적 성장, 대한민국의 미래
2장. 불평등의 씨앗, 교육 양극화
1. 교육 양극화의 현실
2. 교육 양극화의 그늘
3. AI 시대 혁신적 접근
4. AI가 바꾸는 교육 패러다임
3장. 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
1.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벽을 허물다
2. 비정규직의 벽을 넘다
4장. 부동산 양극화를 넘어서라
1. 양극화의 중심 부동산
2. 부동산 양극화의 종말
5장. 세대 간의 이해와 화합
1. 세대 간 갈등 현황
2. AI 시대의 세대 간 갈등 심화 원인
3. 세대 간 갈등 해소를 위한 해결 방안
2부. 초저출생 AI 시대 해법을 찾아라
2부. 초저출생 AI 시대 해법을 찾아라
1장. 한국 사회의 초저출생 현황
1. 초저출생 현상의 정의
2. 최근 출생률 트렌드
3. 최근 출생률 증가 분석
4. 한국의 초저출생 선진국과의 비교
2장. 출생률 증가가 몰고 올 긍정적 변화
1. 한국 사회의 변화
2.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3. 교육 시스템에 미치는 변화
4. 도시와 농촌 간 인구 변화
5. 사회보장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3장. 초저출생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
1.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2.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3. 주거 문제에 미치는 영향
4. 저출생이 인구감소에 미치는 영향
5. AI 시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6. 복지와 공공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4장. AI 시대를 바꾸는 초저출생 해소의 길
1. AI 활용한 일·가정 양립 환경 개선 방안
2. AI 시대 초저출생 문제 해결의 핵심은 정책의 지속성
3. AI 활용한 초저출생 문제 해결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4. AI 기술이 주거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5. AI 시대 사회 인식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있을까
6. AI 활용한 양육 지원 시스템은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까
7. AI 기술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5장. 출생률 회복을 위한 글로벌 사례
1. 싱가포르
2. 일본
3. 캐나다
4. 미국
5. 노르웨이
6. 스웨덴
7. 핀란드
8. 덴마크
9. 네덜란드
10. 영국
11. 독일
12. 이탈리아
13. 프랑스
14. 헝가리
맺음말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