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의 구성
시작하는 글
1. 북한 인권에 대한 사유
2. 북한 여성 인권에 대한 단상
3. 감사의 글
서장 한반도 트라우마
1. 트라우마 기억과 정서
2. 기형적 분단국가(1): 북한판 전체주의
3. 기형적 분단국가(2): 허약한 민주주의
4. 소결론: 회복으로 가는 길
1장 가부장제 지배에 묶인 몸
1. 가부장제 불평등
2. 북한 여성의 기억
3. ‘여자다움’으로 길들이기
4. 소결론: 여자들의 반란
2장 북한 아이 ‘항상 준비!’
1. ‘북한 아이’ 만들기
2. 아이들 생활 풍경
3. 집이 무서운 아이들: 학대와 방임
4. 소결론: 아이들의 마음
3장 결혼 생활 트라우마
1. 장군님 대가정 아내의 형상
2. 가정 폭력을 숙명이라 여기는 아내
3. 아내 폭력의 아픈 실상
4. 소결론: 힘없는 아내들의 힘
4장 조선의 어머니가 된다는 것
1. 행복의 꽃 혁명적 어머니
2. 엄마의 기억: 사랑과는 거리가 먼
3. ‘나쁜 엄마’ 기억에 갇힌 엄마
4. 소결론: 그럼에도 엄마는 강했다
5장 두만강 기억: 두만강 슬픈 연가
1. 일제 식민 지배의 한을 노래하다
2. 탈북민 슬픈 연가
3. 탈북 여성의 수난
4. 소결론: 그렇게 오래 떨어지고 추락했으나
6장 ‘탈북자’에 갇힌 여성의 기억
1. 분단이 만든 ‘이념적 생명체’
2. 선택, 희망, 차별성의 공간에서
3. 탈북 여성의 삶은 아프다
4. 소결론: 삶이 그녀를 속일지라도
종장 여성과 북한 민주화
1. 후기 전체주의, 북한판 전체주의
2. 북한 여성들의 힘
3. 북한 민주주의 싹을 틔우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