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Ⅰ. 문제의 발단
1. 문제 제기
2. ‘독도의용수비대’에 대한 법적 규정
3. 선행 연구
4. 논란의 시작과 전개
5. 최근의 연구 동향과 정부 입장
Ⅱ. 서훈 관련 공문서의 변천
1. 1966년의 서훈 문서
2. 1977년 홍순칠의 서훈 청원 무산
3. 1996년의 서훈
Ⅲ. 1965~1996년 수비대 소개의 변질 과정
1. 1966년 서훈 이전 한일관계와 홍순칠
2. 「독도수비대 비사」(1965)와 언론 보도
3. 「독도수비대」(1970) 전후의 언론 보도
4. 홍종인과 홍순칠
5. 「(도큐멘타리) 독도수비대」(1978)
6. 『동해의 수련화』(1981)
7. 『월간 학부모』 (1979-1985년 연재 추정)
8. 『개척 백년 울릉도』(1983)와 이후의 언론 보도
9. 「독도의용군 수비대」(1985)와 그 이후
10. 『울릉군지』 (1989)
11. 1996년의 서훈 전후
12. 「독도의용수비대지원법」(2005)의 제정, 그리고 현재
Ⅳ. 홍순칠과 수비대의 행적에 관한 검증
1. 일본의 영토 표목 설치와 수비대 결성의 계기
2. 조부 홍재현의 영향 관계
3. 수비대 결성과 무기 조달 및 최초 입도
4. 첫 교전에 대한 검증
5. 가짜 영장
6. 1953~1954년 일본의 침범에 대한 격퇴
7. 정부와의 관계에 대한 검증
8. 1966년의 훈장 반납
9. 기타 사항에 관한 검증
10. 경찰 인계에 대한 검증
Ⅴ. 쟁점 정리
1. 홍순칠의 가계와 이력에 대하여
2. 가짜 영장에 대하여
3. 무기 조달에 대하여
4. 수비대 결성 시기와 활동 기간에 대하여
5. 교전 사실과 횟수에 대하여
6. 33인의 국가유공자에 관하여
7. 자료와 증언의 공신력에 관하여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