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남성욱
☆☆☆☆☆ 평점(0/5)
박영사 | 2025-01-05 출간
판매가
26,000
즉시할인가
25,74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제1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과거, 현재 및 미래 [남성욱] 2
Ⅰ 이승만 대통령의 국제정세 인식.....................................................................4
1. 한반도의 세력 불균형............................................................................... 5
2. 이승만의 결기와 혜안............................................................................... 7
3. 6·25전쟁은 의지를 시험한 전쟁.............................................................. 9
4.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신(神)의 한수......................................................... 10
5. 당연한 동맹은 없다 ................................................................................ 12
Ⅱ  정전협정의 현재 ........................................................................................... 13
Ⅲ  정전협정의 미래 .......................................................................................... 16
1. 캠프 데이비드 정신, 원칙과 협의에 대한 공약 ....................................... 17
2.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캠프 데이비드 공약으로 진화 발전........................ 20
참고문헌 ................................................................................................................. 21

제2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외교적 함의와 평가 [제성호] 22
Ⅰ  서언................................................................................................................ 24
Ⅱ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배경 및 경위..................................................... 25
Ⅲ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국제법적〮외교적 함의와 파급영향............... 29
1. 한미군사동맹의 조약화........................................................................... 29
2. 냉전시대 자유진영에의 편입: ‘자유와 시장’이란 ‘가치의 공유’ .............. 31
3. 공산권과의 관계에서 할슈타인 원칙의 수용〮실천 ................................. 32
4. 북중 동맹관계를 견제하는 외교〮군사적 대응 메커니즘 ......................... 34
5.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동맹관계의 외교적 파급영향 ......................... 36
Ⅳ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종합 평가: 생동하는 기능과 미래 역할 .................. 38
1. 미국을 지구상에서 유일한 동맹국으로 수용........................................... 38
2. 동북아 평화의 안전판이자 한국 외교의 기본 축 형성 ............................ 40
3. 전방위적 협력의 단초 제공 및 21세기
글로벌 전략동맹으로 진화 촉진 ............................................................ 41
4. 통일과정에서 북한의 변화 견인 가능성.................................................. 42
Ⅴ  결론................................................................................................................ 43
참고문헌 ................................................................................................................. 46

제3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반도 안보 [정연봉] 50
Ⅰ  서론................................................................................................................ 52
Ⅱ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1.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주요 내용............................................................... 56
Ⅲ  한미동맹의 제도화........................................................................................ 58
1. 미군 주둔의 제도화 ................................................................................ 58
2. 연합지휘체제의 제도화........................................................................... 64
3. 연합방위태세의 제도화........................................................................... 68
4. 대북 핵 억제력의 제도화 ........................................................................ 71
Ⅳ  한미동맹이 한반도 안보에 미친 영향......................................................... 72
1. 북한의 국가목표 달성 거부 및 한국 방위 ............................................... 72
2.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 75
3. 한국군 전력증강 및 현대화 견인 ............................................................ 76
4. 한국군의 편성, 교리, 교육훈련 발전에 기여........................................... 78
5. 역내 다자안보협력 촉진 ......................................................................... 79
Ⅴ  결론................................................................................................................ 81
참고문헌 ................................................................................................................. 83

제4장
한미동맹-한국의 기적을 이끈 동력 [이미숙] 84
Ⅰ  한국의 기적을 만든 한미동맹 ................................................................... 86
Ⅱ  조선책략에서 캠프 데이비드까지............................................................... 88
Ⅲ  문재인 정부의 동맹중독론........................................................................... 93
Ⅳ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깨워준 동맹의 중요성 ............................................ 98
Ⅴ  제임스 매티스의 동맹론.............................................................................101
참고문헌 ...............................................................................................................104

제5장
가치동맹을 위한 한미동맹의 현재와
미래 발전 방향 [김형진] 106
Ⅰ  한미동맹의 현재 .........................................................................................108
1.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돌아본 한미동맹........................................... 108
2. 한미동맹에 대한 인식........................................................................... 110
3.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12
Ⅱ  역대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 ..................................................................114
1. 의회 연설의 의미.................................................................................. 114
2. 이승만 대통령 연설(영어, 1954.7.28.)................................................. 115
3. 노태우 대통령 연설(영어, 1989.10.18.) .............................................. 116
4. 김영삼 대통령 연설(한국어, 1995.7.26.)............................................. 116
5. 김대중 대통령 연설(영어, 1998.6.10.)................................................. 117
6. 이명박 대통령 연설(영어, 2011.10.13.) .............................................. 117
7. 박근혜 대통령 연설(영어, 2013.5.7.)................................................... 118
8. 윤석열 대통령 연설(영어, 2023.4.27.)................................................. 118
9. 한국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이 보여주는 이야기............................... 119
Ⅲ  최근 3차례 정상회담 공동성명.................................................................120
1.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의의.................................................................... 120
2. 정상회담 공동성명 표현의 시사점........................................................ 121
3. 한미동맹 표현....................................................................................... 124
4. 대북정책 공조 표현 .............................................................................. 124
5. 인태 협력 표현...................................................................................... 125
6. 경제·기후 문제 등 협력 표현 ............................................................... 126
7. 공동성명이 보여주는 변화.................................................................... 127
Ⅳ  향후의 협력 과제 ........................................................................................128
1. 변곡점에 선 세계.................................................................................. 128
2. 한반도 주변 리스크 대응 관련 한미 간 공조......................................... 129
Ⅴ  결론..............................................................................................................132
참고문헌 ...............................................................................................................135

제6장
한미동맹과 핵무장 [남성욱] 136
Ⅰ  우크라이나 전쟁과 푸틴의 핵 위협...........................................................138
1. 김일성, 미국의 핵 공격 공포에 핵 개발 박차........................................ 138
2. ‘북한판 핵 독트린’ 선언과 비핵화 폐기 ................................................ 141
3. 제재할 것인가 인정할 것인가, 국제사회 딜레마................................... 142
Ⅱ  핵이 가져온 전력 불균형 ...........................................................................144
1. 남북한 군사력 비교 .............................................................................. 144
2. 한미 확장억제 전략의 유용성과 한계 ................................................... 145
3. 북러 군사동맹 부활의 함의................................................................... 148
Ⅲ  핵무장 담론 .................................................................................................152
1. 시몬 페레스(Shimon Peres)의 핵 모호성 전략................................... 152
2. 북핵 억제와 핵균형 전략 ...................................................................... 153
Ⅳ  결론..............................................................................................................155
참고문헌 ...............................................................................................................157
부록 .......................................................................................................................164
색인 .......................................................................................................................306
책제원정보
ISBN 9791130321080
판형정보 324쪽 / 172 X 245mm
출판사 박영사
출판일 2025-01-05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한미동맹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25,740원

총 주문금액

25,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