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청문당(淸聞堂)과 경성당(竟成堂)
유래
청문당 정원과 실경산수고
청문당 마을의 풍수지리
조선 시대 4대 만권당(萬卷堂)
청문당 문화재 지정 및 복원 경위
경성당(竟成堂) 오교촌장과 정재골 마을
안산의 문화예술적 역사와 인물
조선 시대
근대 및 현대
표암 강세황의 예술
예원의 총수(摠帥)
강세황의 생애 시서화 삼절
일생 동안 추구한 문인화의 세계
당대 최고의 평론가
소신 있는 문인화가의 보람
강세황과 유경종
강세황의 안산 시절 거주지
『표암유고』의 「발문(跋文)」 초고 필적(筆跡) 고증
문제 제기
표암 서(書)의 시기별 특질
『표암유고』의 「발문」 초고 필적(筆跡)의 조형 특질
산향재(山響齋)
부곡동 243번지(산향재 터)
시(詩)로 본 강세황의 부곡리(개멸마을)와의 관계
김홍도의 생애와 화경
개관
생애 및 자화상
단원의 화경
조선 회화사에 있어서의 단원의 영향 및 위상
단원과 안산
서호(西湖)에 대하여
맺음말
별첨 1. 정재집(靜齋集) 표지 사본
별첨 2. ‘제화인사한첩후(題華人詞翰帖後)’의 원문으로 추정되는 문헌
별첨 3. 『표암유고』의 「발문(跋文)」 초고 필적(筆跡) 고증
별첨 4. 토지조사부 사본(산향재 소재지)
별첨 5. 豹菴의 詩 정해암(呈海巖)의 소나무 숲과 옹기마을 관련 지적도
별첨 5-1. 230번지 부분 확대
별첨 6-1. 서호 관련 옛 지도(국립건설연구소(現 국토지리정보원), 1964)
별첨 6-2. 서호 관련 옛 지도(조선총독부, 1914)
별첨 7. 성호공원 주변 지도
별첨 8. 서호 관련 지적도
별첨 9. 감사패와 경기도문화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