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결〉 기업의 벽을 넘어 산별로 한국 사회 최초 산별노조, 보건의료노조
ㆍ 병원노동자들, 민주노조 결성
ㆍ 연대투쟁의 결실로 전국병원노동조합연맹 결성
ㆍ 의료민주화 투쟁 전개하며 산별노조의 필요성 공감
ㆍ 병원노련, 연구와 논의, 조직과 투쟁으로 산별노조 건설 준비
ㆍ 마침내 한국 사회 처음으로 산별노조 출범
ㆍ 병원 구조조정 바람에 산별노조로 맞서
ㆍ 2004년 산별교섭 쟁취와 1만 보건의료노동자 산별 총파업
ㆍ 산별교섭의 파행을 딛고, 의료민영화 저지 투쟁으로 산별노조의 가치 확인
ㆍ 의료제도의 공백이 초래한 감염병 위기에 맞서 공공의료 확대 요구
ㆍ 산별노조라 가능한 비정규직 없는 병원, 노동 존중 일터 만들기 투쟁
ㆍ 9.2 노정합의, 의료체계 개혁의 돌파구 열어
ㆍ 노정합의 이행을 요구하며 총파업 전개
〈의료공공성〉 돈보다 생명을! 환자 곁에서 국민건강권 실현에 앞장서 온 보건의료노조
ㆍ 보건의료운동의 상징, 돈보다 생명을
ㆍ 의료제도 개혁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운동
ㆍ 보호자 없는 병원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ㆍ 의료민영화 반대 투쟁
ㆍ 공공의료 강화 투쟁
ㆍ 감염병 위기 극복과 공공병원체계 구축
ㆍ 의료기관평가인증제도 대응
ㆍ 의료공공성을 완성하기 위한 인력 확충 투쟁
〈산별운동〉 한국 산별노조운동을 선도하는 보건의료노조
ㆍ 민주노조 진영의 오랜 과제인 산별노조운동, 보건의료노조가 그 첫발을 내디뎌
ㆍ 보건의료노조의 산별운동 전략 하나 : 산별교섭 쟁취
ㆍ 보건의료노조의 산별운동 전략 둘 : 보건의료산업 정책 개입
ㆍ 보건의료노조의 산별운동 전략 셋 : 산별 총파업투쟁
ㆍ 보건의료노조의 산별운동 전략 넷 : 조직 확대 사업으로 모든 보건의료노동자와 함께
ㆍ 보건의료노조의 산별운동 전략 다섯 : 일상활동 강화
〈일터혁명〉 일터를 바꾸다, 삶을 바꾸다 : 병원과 병원노동자의 삶을 바꾼 보건의료노조
ㆍ 보건의료노동자 임금 현황과 산별 임금 과제
ㆍ 주5일제 실현과 주4일제 제기
ㆍ 병원 내 폭력, 권위주의 문화와 관행 근절
ㆍ 모성보호 요구에서 모성정원제로
〈산별정신〉 탄압에는 저항으로 보건의료노조의 산별투쟁 정신
ㆍ 민주노조 제1의 정체성, 보건의료노조 산별 정신의 핵심은 ‘투쟁’
ㆍ 산별노조 건설과 운영을 위한 결단
ㆍ 투쟁하는 노조가 타결해야 산별교섭 타결
ㆍ 해고자 문제는 모두의 문제
ㆍ 노조파괴, 타임오프 등 노동악법 대응
〈연대〉 모두의 산별노조 : 더 큰 단결과 연대로 나아가는 보건의료노조
ㆍ 사회와 어깨를 건 보건의료노조
ㆍ 전 세계 보건의료노동자와 함께
ㆍ 놓을 수 없는 깃발, 노동자 정치세력화
〈정체성〉 보건의료노조를 말한다
ㆍ 보건의료산업 대표 노동단체로 우뚝 선 보건의료노조
ㆍ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의 산별노조 자부심
ㆍ 노조의 조직과 조합원의 고민·참여가 만나 만들어지고 유지되는 산별노조 정체성
ㆍ 산별노조운동과 보건의료운동의 균형을 위한 계획과 실천 필요
ㆍ 긴 호흡으로 보건의료노조가 나아갈 길
부록
ㆍ 9.2 노정합의문
ㆍ 1987~2023 보건의료노조 37년 주요 일지
ㆍ 보건의료노조 지부와 조합원 수 변화
ㆍ 보건의료노조 지부·지회·분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