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第6章 고조선(古朝鮮) 영토고표(領土考表)
第 1 節 연구 범위 및 구성
第 2 節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의 기록 연구
第 3 節 고조선(古朝鮮) 영토고표(領土考表) 초안(草案)
第 4 節 고조선(古朝鮮) 영토고표(領土考表) 완성본(完成本)
第 5 節 고조선영토획정(古朝鮮領土劃定)
참고문헌
第7章 졸본성(卒本城)ㆍ국내성(國內城)ㆍ환도성(丸都城) 시대
Part I 한(漢)으로부터 25년 만에 독립한 고조선(古朝鮮)
Part 2 임둔(臨屯) 땅의 후한낙랑군(後漢樂浪郡)
Part 3 당산시(唐山市)에 설치된 대방군(帶方郡)
第8章 동천왕평양성(東川王平壤城)과 황성(黃城) 시대
Part I 임둔(臨屯) 땅의 동천왕평양성(東川王平壤城)
Part 2 대동강(大同江) 유역의 백제(百濟) 한성(漢城)
第 9 章 장수왕평양성(長壽王平壤城) 시대
Part I 낙랑(樂浪) 땅의 장수왕평양성(長壽王平壤城)
Part 2 예맥조선(濊貊朝鮮)의 후손
第 10 章 장안성(長安城,) 시대
Part 1 고구려(高句麗) 중심지에 위치한 장안성(長安城)
Part 2 조선(朝鮮)보다 넓었던 통일신라(統一新羅)의 영토
동북아고대사정립(東北亞古代史正立) 2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