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사회주의사상·문화사’ 총서를 출간하며
책머리에
서론 1. 사회주의의 또 다른 길, 사회민주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
2. 제국 일본에서 사회민주주의의 형성
3. 일제하 한국 사회주의 연구 시각 검토와 사회주의 운동의 분화
4. 책의 구성과 내용
1장 1920년대 전반 물산장려운동에 나타난 ‘국내 상해파’의 사회운동론
1. ‘국내 상해파’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초기 조선물산장려운동 주도
2. 영국과 독일에서의 사회민주주의의 흐름
3. 국가의 역할과 사회주의로의 이행에 대한 인식 비교
4. 민주주의 인식의 비교 및 단계론적 인식
2장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논쟁과 사회주의 단일 대중정당론
1. 일본 합법적 무산정당운동의 등장과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제기
2.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의 결성을 둘러싼 논란, 관련자들
3. 일본과 조선에서의 무산 대중정당론의 확산과 한계
3장 신간회 초기 사회주의 세력의 민족통일전선 정책 변화와 그와 다른 생각들
1. 코민테른 민족통일전선 정책의 변화와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 전취론’
2. 코민테른과 다른 생각들
3. 다른 생각의 대표적 인물, 신일용
4장 1930년대 초반 ‘좌익 사회민주주의’와 신간회·청총 해소 반대론
1. 국제노선을 거부한 사회주의자들의 ‘합법운동론’ 주장
2. ‘합법운동론’ 비판과 논쟁
3. 해소론 제기의 국제적 배경
4. 신간회와 청총의 성격과 해소 반대론
5장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에 참여한 사회민주주의자들
1. 한국민주당의 결성 과정과 사회민주주의자들의 참여
2. 한국민주당의 초기 활동과 진보적 사회경제 정책의 배경
3. 흩어지는 사회민주주의자들
결론: 정통적 인식에서 벗어나 사회주의의 다양성으로
1. 일제하에서 해방 직후 한국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흐름
2. 한국 사회민주주의 역사적 기원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