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한국어판 저자 서문
감사의 말
약어(略語)
시대 연표
서론
중국과 이슬람 세계: 육지와 바다로 연결되다
사료
지리 기록
지도
고고학적 증거
세 시기의 단계로 본 지리 지식의 성장
1장 제국의 만남에서 해상 교역으로 이슬람 세계에 대한 중국의 이해, 750-1260
머리말
초기의 접촉과 최초의 직접적 기록들
이슬람 세계와 당조(618-907) 사이의 해상 교통과 가탐(賈耽)의 항로
현존하는 중국 지도 속의 광범한 세계
송 왕조(960-1260)의 해양 문헌에 보이는 해양 교역과 이슬람 세계
맺음말
2장 중국과 세계에 대한 묘사 중국에 대한 이슬람 세계의 지식, 750-1260
중국과 인도양에 대한 초기의 아랍어 지리 기록들
아바스 후기의 현존 지도와 지리적 저술에서 보이는 중국과 세계(934년경-1260)
맺음말
3장 몽골 세계에 대한 해석 중국의 이슬람 세계 인식, 1260-1368
몽골의 중국, 이란 정복으로 인한 중국인의 이슬람 세계에 대한 지식 확대
현존 지도에 반영된 이슬람 세계에 대한 중국인의 확대된 지식
증대된 해양 접촉을 통한 중국인의 이슬람 세계에 대한 지식 확대
맺음말
4장 마르코 폴로를 넘어서 중국에 대한 이슬람 세계의 지식, 1260-1368
몽골 지배 일 칸국(1260-1335) 휘하에서 중국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확대
맘루크 조 치하 시리아와 이집트의 중국에 대한 지식
이븐 바투타의 여행기에 보이는 무슬림의 교역 네트워크와 중국
맺음말
5장 1492년 이전 지구 절반의 교류 활동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
이슬람 세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중국에 대한 이슬람 세계의 지식, 1368-1500
명대 초기의 정치적 변화, 대외관계, 그리고 지리 지식
일곱 번에 걸친 정화의 항해(1405-1433)로 얻은 중국의 이슬람 세계에 대한 지식
몽골 시대 직후의 정치적 변화와 무슬림의 중국에 대한 지식의 종합
인도양에 포르투갈인이 도래하기 이전 시기 무슬림의 항해
맺음말
결론
전근대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접촉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
정치적 갈등이 상업, 문화 교류로 이어지다
몽골 지배하의 통합된 세계에서 이루어진 정보의 직접 전달
세계에 대한 지리 지식의 확산과 증대
유럽인의 등장에 아시아의 지리 지식이 끼친 영향
다(多)중심의 세계사 모델을 향하여
참고문헌
색인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