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국가유산과 문화의 미래 / 박영대
1. 한국에서 장인으로 살아가는 법
2. Expo·잼버리·엑스포, 21C 문화자산!
3. 국가유산 답게 대우해야
4. 스포츠 창의권 개념설계
5. 국가유산청 격에 맞는 유산정책 기대
6. 문화유산이 아름다운 이유-본각사 존치
PART 2 문화예술 현장 톺아보기 / 김선영
7. 소형 복합문화공간과 브리콜레르
8. 지역문화의 ‘한 지붕 두 가족’
9. 원로예술인이 행복한 세상
10. 갤러리카페를 ‘제3의 공간’으로
11. 예술 스쾃과 예술 공간의 경영학
12. 문화예술 공공 지원의 명암
13. 의정부역 이음의 ‘제3의 장소’ 만들기
PART 3 현대사회와 문화 해법 / 서승옥
14. 문해력 버그
15. ‘생명이 자본이다’의 유레카
16. 단순하게 살기
17. 극복과 초월, 그 사이에서
18. AI시대, 그래도 글쓰기이다
19. ‘불안’이라는 이름의 방황
20. 소렌토에서 제주도까지
PART 4 창작과 지식재산의 보호 / 김수섭
21. 문화예술 발전과 디자인권 보호
22. 부분디자인출원을 적극 활용해야
23. 창작물에 적합한 지식재산권 선택
24. 창작의 보호
25. 전통공예 시장의 성장성 고찰
26. 공개 전, 디자인·특허 출원 필수
PART 5 문화유산 산책 / 이귀영
27. 국가유산과 세계유산
28. 김 장
29. 세계유산이란 무엇일까?
30. 공주 공산성을 돌아보며
31. 무령왕릉, 지석과 기록의 중요성
32. 역사에서 보는 개방과 쇄국의 교훈
33.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평제탑
PART 6 지속가능한 지역관광 / 김향자
34. 어촌관광의 지속가능한 발전 이슈
35. 차박의 명(明)과 암(暗)
36. ‘관광수출 혁신전략’ 다섯 가지 질문
37. ‘지역다움’으로 관광경쟁력 높이자
38. 소규모 관광단지 추진 기대와 우려
39. 크루즈 관광 국가로의 도약 과제
40. 행복 여행, 웰니스 관광
PART 7 스포츠와 문화의 접점 / 김학수
41. 한국 계단식 골프장, 스포츠-기술 통합
42. 정치인들이 즐기는 스포츠 언어
43. 골프 치러 갈 때 설레는 이유
44. 장욱진 화백과 체육특기자
45. 체육인 국회의원 역사
46. 1924·2024 파리올림픽 100년의 차이
47. 인천상륙작전 맥아더는 ‘올림피안’
PART 8 평화의 씨앗, 문화로 꽃피우다 / 양재완
48. 김포 한강 철책, 민족 애환을 딛고 미래 희망으로
49. 평화의 상징인 장미꽃 철책을 만들자
50. 장미꽃 철책 조성,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하나
51. 행정사법인CST 2년 회고와 전망
PART 9 문화행정의 도전과 과제 / 박광무
52. 새만금잼버리의 교훈과 과제
53.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54. CST의 철학적 지향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