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 축사
서문
프롤로그 : 직업으로서의 의사, 대화의 시작
1부. 의사란 누구인가? Who
1장. 우리 시대 의사들의 일상적 삶
2장. 의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장. 의대에 입학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4장. 의과대학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까?
5장. 의사란 무엇인가?
Episode1. 나의 의대 입학 풍경
2부 의학이란 무엇인가? What
1장. 의학의 정의
2장. 의학의 분과 학문들
1) 기초의학 과목
2) 임상의학 과목
3) 각 분과 학문들의 세부 학문에 대한 예시- 내과학의 경우
4) 26개 전문과목
3장. 의학사란 무엇인가, 의학사의 중요 장면들
1) 의학사란 무엇인가
2) 의학사의 주요 장면들
(1) 히포크라테스와 히포크라테스 학파
(2) 윌리엄 하비, 혈액순환의 원리 발견
(3) 란트슈타이너 ABO 혈액형 발견과 수혈의 시대
(4) 페니실린의 발견과 사용
(5) 개심수술의 시작
4장. 의료 윤리
1) 생명의료윤리학
(1) 윤리학과 생명의료윤리학
(2) 윤리적 논증의 원리들
(3) 생명의료윤리의 4원칙
2) 생명의료윤리의 주요 문제들
(1) 의사는 환자에게 언제나 진실을 말해야 하는가?
(2) 죽음의 정의 문제 : 죽음이란 무엇인가?
(3) 안락사 문제 安樂死 Euthanasia
(4) 인공임신중절의 문제
(5) 의학 연구 윤리의 문제
(6) 의료 인공지능 AI의 활용과 그에 따른 의료윤리적 문제들
5장. 의학전문직업성
Episode2. 공부에 미치다
3부. 의료와 사회 Society
1장. 의료제도, 의료정책
2장. 공영제와 사회보험 구분으로 설명한 주요 국가의 의료제도 요약
1) 독일
2) 영국
3) 일본
4) 미국
3장. 우리나라의 의료제도 요약적 소개
4장. 왜 의사들은 의료제도와 의료정책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하는가?
Episode3. 나의 독서 편력
에필로그 : 의대 진학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편지
[부록]이 책의 활용법 : 2024년 보건의료 분야의 주요 사건 3가지에 대한 분석과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