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한중관계의 역사적 발전과 시대적 협력
제1장 아시아 지역통합과 한중관계: 아시아 지역통합의 미래 구상 _신의찬
Ⅰ. 아시아 지역통합의 시대적 요구와 연구의 필요성
Ⅱ. 담론적 제도주의와 아시아 지역통합의 이론적 고찰
Ⅲ. 아시아 지역통합의 현황과 한중 협력의 역할
Ⅳ. 아시아 지역통합의 미래 구상과 한중 협력
제2장 중국의 ‘동북아 운명공동체’와 한중관계: 개념적 검토와 실천적 방안 _량미화
Ⅰ. ‘동북아 운명공동체’ 구상의 몇몇 함의
Ⅱ. 개념적 검토: ‘공동체’ 및 ‘기능주의’
Ⅲ. ‘동북아 운명공동체’ 구축 환경과 구체적 방안
Ⅳ. 미래 지향적인 한중 관계를 위한 제언
제3장 한중관계의 고찰과 평가: 인문 교류의 역사, 현황, 전망을 중심으로 _황지에
Ⅰ. 시대적 배경 속의 한중 인문 교류
Ⅱ. 한중 관계사에 있어 인문 교류의 역할
Ⅲ. 현재 한중 인문 교류의 현황과 특징
Ⅳ. 한중 인문 교류의 신(新) 접점을 위한 제언
제2부 한중관계의 본질적 이해와 기능적 협력
제4장 한중관계의 비대칭성: 권력과 상호의존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_왕러
Ⅰ. 상호의존적 한중관계의 의미: 복잡성과 역동성
Ⅱ. 이론적 논의: 권력과 상호의존
Ⅲ. 한중관계의 비대칭성: 단기적, 중장기적 수단과 영향
Ⅳ. 미래 지향적 한중관계를 위한 제언
제5장 한중관계의 불균형성: 정치경제 균형 발전을 위한 제언 _판빈빈
Ⅰ. 사드 배치 이후 한중 정치경제 관계의 현황
Ⅱ. 사드 배치 이후 한중 정치경제 불균형적 발전의 원인
Ⅲ. 경제는 왜 정치를 견인하지 못하는가?
Ⅳ. 한중 정치경제 균형 발전을 위한 제언
제6장 중국의 공공외교: ‘매력외교’ 강화와 실천적 플랫폼 마련 _이은주
Ⅰ. 중국 공공외교의 연구 필요성
Ⅱ. 중국 공공외교의 개념적 검토
Ⅲ. 중국 공공외교의 실행과 한계
Ⅳ. 한중 공공외교 강화를 위한 제언
제3부 한중관계의 분야별 비교와 다면적 협력
제7장 한중 청년문화의 비교: ‘갓생’을 중심으로 _추이루루
Ⅰ. 한중 청년 갓생 문화의 문제의식과 도전
Ⅱ. 한중 청년 갓생 문화의 이론적 배경
Ⅲ. 한중 청년 갓생 문화의 사례 비교분석
Ⅳ. 한중 청년 갓생 문화의 이해 심화와 제언
제8장 한중 문화산업의 비교: 웹소설의 IP화를 중심으로 _김하나
Ⅰ. 웹소설을 통해 한중 문화산업을 비교하는 이유
Ⅱ. 이야기가 ‘유동(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