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서론
1. 연구사 정리 및 연구목적
2. 연구개요
제2장 임진왜란 이전 수군제도와 삼도수군
1. 진관체제 하의 삼도수군
1) 전라도수군 편제의 변화
2) 경상도수군 편제의 변화
3) 충청도수군 편제의 변화
2. 제승방략체제 하의 삼도수군
제3장 임진왜란 초기 해전을 통해 본 朝・日 수군 비교
1. 임진왜란 초기 해전의 특징
1) 조선수군의 연승과 일본수군의 동태
2) 임진왜란 이전 조선・일본 간의 정보 미비
2. 朝・日 수군 발전과정과 전력 비교
제4장 전라도수군의 편제와 운용
1. 임진왜란 초기 전라도지역의 동향
2. 전라도수군의 편성과 諸鎭의 위치
1) 전라도수군의 편성과 활동 인물
2) 수군진의 위치
3. 전라도수군 동원체제의 실상
1) 수군 강화정책의 모순과 군사징발 실태
2) 수군과 육군 간의 지휘체계 문제
3) 전라우수군의 활동 상황과 편제의 변동
4. 전라도수군과 해상의병
1) 의승군
2) 유생층
제5장 경상도수군의 편제와 운용
1. 임진왜란기 경상도지역의 전황
1) 일본군의 경상도 점령 방침
2) 조선 측의 대응
2. 경상도수군의 편성과 諸鎭의 위치
1) 경상도수군의 편성과 활동 인물
2) 수군진의 위치
3. 경상우수군의 초기 활동과 정비과정
1) 경상우도 연해지역의 전황
2) 김성일의 초유활동과 경상우수군 운용
3) 경상우수군의 정비와 편제의 변화
4. 경상좌수군의 활동
1) 개전 초기 상황과 경상좌수군의 항전 활동
2) 경상좌수군의 임시 지휘체계하의 활동
제6장 충청수군의 편제와 운용
1. 임진왜란 초기 충청도지역의 전황
2. 충청도수군의 편성과 諸鎭의 위치
1) 충청도수군의 편성과 활동 인물
2) 수군진의 위치
3. 충청수군의 근왕 및 부원 활동
1) 한성수복 활동
2) 행주성전투 참전
3) 2차 진주성전투 참전
4. 충청수군의 정비와 칠천량해전
1) 충청수군의 정비과정과 ‘이몽학의 난’ 평정 활동
2) 충청수군과 칠천량해전
제7장 임진왜란 이후 읍수군 운용의 변화와 특성
1. 이순신의 1차 출전 중 읍수군 출전 사례
2. 읍수군 운용의 추이와 제도화
1) 읍수군 代將職의 상설화
2) 군선 재정 운영의 정비
3. 읍수군 운용의 특성
제8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