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스포츠와 ESG
1. 스포츠와 ESG
2. E: 스포츠 현장의 환경(Environmental)
3. S: 스포츠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Social)
4. G: 스포츠의 핵심목표 지배구조(Governance)
PART 2. 스포츠의 변화는 ESG로부터
1. 스포츠의 지속가능성과 ESG 경영
2. ESG 경영이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3. 스포츠 ESG 경영의 외면
4. 프로스포츠, ESG 경영을 실천하다
5.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스포츠 ESG
6. 프로스포츠 구단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PART 3. ESG 탄생과 시작
1. 주주 자본주의 vs.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2.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 / 세계경제포럼
3. ESG 변화의 서막
4. ESG 경영을 부추긴 장본인
PART 4. 모두가 잘사는 상생 키워드 ‘스포츠 ESG’
1. 스포츠와 ESG 경영을 위한 상생 전략
2. K-스포츠 ESG 얼라이언스 구축
3.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략
4.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을 위한 전략
5.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을 위한 전략
6. 상생을 위한 스포츠 ESG의 국내 사례
7. 상생을 위한 스포츠 ESG의 해외 사례
PART 5. 메가스포츠 ESG
1.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ESG 경영
2. 국제축구연맹(FIFA)의 ESG 경영
PART 6. 뒷북치는 스포츠 ESG
1. 무늬만 흉내 내는 ESG 그린워싱
2.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스포츠 ESG
PART 7. CSR에서 ESG까지
1.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 창출(CSV)
2. 비재무적 측면의 중요성
3.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
4. 스포츠 산업에서 CSR과 ESG
PART 8. Net Zero를 향한 스포츠 탄소중립
1. ‘탄소중립 리그’ 시대를 향한 도약
2. 스포츠 현장의 탄소중립
3. 프로스포츠 구단의 탄소중립
4. 탄소중립을 위한 스포츠의 사회적 책임
5. 지속가능한 재료로 만드는 건강한 스포츠 환경
6. 탄소중립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장비개발
7. 스포츠 스폰서도 친환경, 탄소중립 성적표 제출
8. 경기 서비스 가치사슬의 탄소배출
PART 9. 스포츠 ESG의 우선순위
1. 스포츠 ESG의 현재와 미래 과제
2. ESG 실천의 긍정적 효과와 미래 방향성
PART 10. 앞서가는 ESG, 스포츠의 대응
1. 국제기구 ESG
2. 국내 스포츠 ESG
3. 해외 스포츠 ESG
PART 11. 스포츠 ESG, 비재무적 평가지표
1. ESG 평가지표 현황
2. 국내 ESG 평가지표
3. 해외 ESG 평가지표
4. 스포츠 ESG 평가지표 예시
PART 12. 국내 스포츠 ESG
1. 공공기관
2. 프로스포츠 구단
3. 스포츠용품 기업
4. 일반기업
PART 13. 해외 스포츠 ESG
1. 미국 프로스포츠
2. 영국 프로스포츠(프리미어리그)
3. 스페인 프로스포츠(라리가)
4. 프랑스 프로스포츠
5. 독일 프로스포츠
6. 이탈리아 프로스포츠
PART 14. 행복을 꿈꾸는 스포츠 ESG
1. 스포츠, ESG 활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다
2. 스포츠, 사회 변화의 선봉에 서다
3. 환경오염으로 인해 다가오는 미래
4. 동계 스포츠 존폐위기, 운명의 카운트다운
5. 스포츠 ESG 경영 실천 이유와 효과
6. 스포츠 ESG 경영의 간접적인 효과
PART 15. ESG와 함께하는 미래 스포츠 세상
1. 스포츠 ESG의 부정적인 부분
2. ESG가 스포츠에 미칠 영향 예측
ESG 주요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