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한중 문화와 소통
한중 국교 수립 이전의 상호 교류 / 한용수
중ㆍ한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 / 許世立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중 상호문화교육 방안 / 韩 旭
한중 이름형 호칭과 문화 / 이명아
제2부 한중 어휘 대조
한중 신체어 ‘다리’와 ‘腿’의 의미 확장 대조 / 樸花豔
‘연령’에 대한 한중 인지 개념 대조 / 曾 茂
한중 정도부사 ‘너무’와 ‘太’ 대조 / 夏晓雨
한중 시간 표현에 대한 대조 / 崔海滿
제3부 주제별 탐구
중국어 谦词 ‘家’와 ‘舍’의 의미론적 분석 / 黄春燕
중국어 의외류 어기부사의 의미 변화와 의미 기능 / 조윤주
중국 복식 색채어의 상징의미 / 김순진
‘-어 있다’와 ‘-고 있다’의 상(Aspect)에 대한 영상도식적 고찰 / 李琳蓉
제4부 언어 교육과 공감
중국 소수민족 교육정책으로 보는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 개선 방안 / 月 圆
국내 중국어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ED) / 이서이
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활용한 중국어 회화 교육 방안 / 李 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