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머리말
1부 차 문화
1장 중국의 차
――차죽의 시대: 당 이전
――『다경』의 시대: 당
1) 전다와 다기
2) 암다와 다기
3) 점다와 다기
――투다와 각양각색의 다기: 송
1) 화려하고 격렬하게 점다
2) 아름다운 포말로 승부하는 투다
3) 포말 위에 문양을 그리는 분다
4) 흰색 거품을 위해 탄생한 흑유 다완
5) 초차를 마시기 위한 다구
6) 차의 맛과 기운이 뛰어난 석제 다구
7) 그림 속 차를 준비하는 모습과 다구
――변방으로 전파된 다례: 요·금
――말차와 엽차의 과도기: 원
――차의 빛깔보다 맛과 향: 명
1) 다기와 차 맛의 긴밀한 관계
――황제에서 평민까지 차를 즐기던 시대: 청
1) 법랑채 다기를 애호한 강희제와 옹정제
2) ‘차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다’던 건륭제
3) 재스민차를 세계에 알린 자희태후
4) 궁중의 귀한 차, 티베트의 밀크티
5) 의흥 자사호와 공부차
――외세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차: 근현대
2장 한국의 차
――한반도 차 문화의 시작: 삼국
――『다경』을 향한 동경: 통일신라
1) 통일신라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 다기
2) 옥벽저완과 옥환저완
3) 장사요 청자
――한반도 차 문화의 절정기: 고려
1) 고려 문인과 스님들의 운치 있는 음다법
2) 월요 청자를 능가한 고려청자
3) 다양하고 세련된 고려 다구
4) 중국과 대등한 고려의 차 문화
5) 고려인을 매혹한 중국 다기
――국제적 감각의 차 문화: 조선
1) 차 문화 부흥의 주역들
2) 중국·일본 교류로 부흥한 차 문화
3) 조선시대에 유행한 차와 다법 그리고 다구
――외부의 지배 속에 명맥을 유지하다: 근현대
3장 일본의 차
――견당 승려가 들여온 차 문화: 나라·헤이안
――중국 점다의 유입과 일본 덴차의 시작: 가마쿠라·난보쿠조
1) 무사의식을 고양시킨 투다
――서원차와 와비차의 대립: 무로마치
1) 리큐와 와비차의 계보
2) 와비·사비와 고려 다완
3) 리큐의 한 칸 다실
4) 일본 차 문화의 리더: 마치슈와 다이묘
――차의 대중화와 센차의 정착: 에도
1)일본 다도의 정신, 와비·사비 그리고 일기일회
2부 향 문화
1장 향의 종류
모향 | 침향 | 용뇌향 | 용연향 | 강진향 | 소합향 | 백단향 | 자단향 | 정향 | 유향 | 사향
2장 중국의 향
――합향 기술의 발전
――합향의 종류와 사용법
향환 | 향병 | 향전 | 선향
――향의 사용과 향구의 변천
1) 신선 세계에 대한 동경: 전국·진한
도제 훈로 | 동제 훈로 | 박산향로
2) 낭만적인 향훈 문화의 유행: 삼국·위진남북조
관형 향훈 | 삼족형 향훈 | 박산향로 | 두형 향훈 | 병향로
3) 동서 교류를 통한 다양한 향과 향구의 유행: 수·당
다족 향훈 | 향 훈구 | 병향로 | 박산향로 | 향합
4) 다양한 향료의 유입과 향구의 발달: 송
5) 향의 대중화와 선향의 등장: 원
정형 향로 | 역형 향로 | 염형 향로 | 궤형 향로 |
향저·향시·향병
6) 고급 장식물로 자리 잡은 향구 : 명·청
선덕로, 인향로 | 노병삼사
3장 한국의 향
――불교와 함께 시작된 향 문화: 삼국·통일신라
1) 삼국시대에 유행한 박산향로
2) 통일신라의 다양한 향로
――향 문화의 전성기: 고려
1) 격조 높은 복고풍 향구의 유행
연화형 향로 | 향완 | 정형 향로 | 상형 향로 | 병향로 | 현향로
2) 수도 개경에서 유행한 송대 향로와 향합
――유교 문화와 문인들의 향 취미: 조선
1) 정형 향로와 향완
2) 중국 향로의 유입과 유행
4장 일본의 향
――향 문화를 적극 수용한 일본인들: 아스카·나라·헤이안
――무인들의 문향과 투향 그리고 가라모노 열풍: 가마쿠라·아즈치모모야마
――다실의 주인공이 된 마키에 향구: 에도 이후
3부 꽃 문화
1장 중국의 꽃 문화, 병화
――인도 불교에서 유래된 병화: 위진 남북조
1) 중국 병화의 외래적 요소
――병화 예술의 황금시대: 수·당·오대
1) 신에게 바치는 꽃의 노래
2) 감상의 대상으로 격상된 병화
――연회석을 풍성하게 장식했던 병화: 송
1) 차, 향, 꽃 그리고 그림
2) 송대의 병화, 원체화와 이념화
3) 화병을 노래한 시와 그림
――병화 문화의 침체: 원
――병화 문화의 부흥: 명
1) 병화에 관한 인문학적 시선
2) 장소와 쓰임에 따라 다양해진 화기
――병화 문화의 정점: 청
1) 화왕의 탄생
2) 분재 예술에 담긴 상징
3) 창의적인 꽃꽂이 도구, 내담
2장 한국의 꽃 문화, 꽃꽂이
――당나라로 간 신라의 꽃: 삼국·통일신라
――호화스러운 어원, 금은화로 장식한 연회: 고려
1) 불교 공화와 유가 이념화의 공존
2) 꽃의 생명을 연장하는 비책: 토실과 빙화
3) 꽃꽂이의 종류에 따른 화기의 사용
――꽃꽂이 이론과 기술의 향상: 조선
1) 화훼 재배 기술에 눈뜨다
2) 글과 그림에 나타난 조선의 꽃꽂이
3장 일본의 꽃 문화, 이케바나
――꽃에 깃든 신의 영역: 아스카
――노래로 전해지는 이케바나: 헤이안
――카라모노의 유행과 이케바나의 융성: 가마쿠라·난보쿠조
1) 실내에 장식된 이케바나
2) 가라모노 취미와 이케바나
3) 불화에 나타난 이케바나와 화기
4) 신화와 역사적 인물이 즐긴 이케바나와 화기
――이케바나의 정점: 무로마치
1) 종교의 경계를 넘어 예술적 양식으로
2) 그림 속에 보이는 이케바나와 화기
――이케바나와 차노유의 결합: 모모야마·에도
1) 리카와 유예의 등장
2) 차노유와 이케바나의 절묘한 결합
――전통과 혁신의 모색: 근현대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