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책을 내며
내가 조우한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과 유산, 기억
스탈린 시기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과 유산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억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의 유산에 대한 시사점
제1부 스탈린 시기 전쟁경험과 유산
제1장 소비에트 병사 이미지 만들기
조국 수호자, 해방자로서의 병사
과도기의 병사 이미지: 영웅, 희생자, 치유자
새로운 스탈린의 병사
평화롭고, 인간적이며, 낙관적인 스탈린의 병사
제2장 젊은 세대의 전쟁경험과 그 유산
전쟁경험
권위주의적 스탈린 체제에 대한 반항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대한 의문 제기
1930년대 대숙청의 유산
‘진정한’ 사회주의 사회를 꿈꾸며
몇 가지 문제 제기에 대해
제3장 반유대주의와 전쟁기억 만들기
소련 유대인의 대조국전쟁 경험
스탈린 정부의 유대인 전쟁기억 만들기
유대인 전쟁기억 지우기
유대인 전쟁기억에 대한 상충된 태도
전후 스탈린 시기 유대인 전쟁기억 지우기
전후 반유대주의 등장과 유대인 전쟁기억
제4장 전방의 전쟁경험과 기억: 레닌그라드와 세바스토폴
레닌그라드의 전쟁경험
레닌그라드의 전쟁기억
모스크바의 억압
세바스토폴의 전쟁경험
세바스토폴의 전쟁기억과 모스크바의 입장
세바스토폴의 입장
모스크바의 양보?
제5장 후방의 전쟁경험과 유산: 마그니토고르스크
전후 마그니토고르스크의 물자 부족 사태
권리의식의 분출, “이제 전쟁이 끝났으니까…”
지역정체성과 권리의식의 표출
계급정체성과 권리의식의 표출
당·정부 관리에 대한 비판과 노동자의 권리
제6장 전쟁 후 약자 돌보기
관리들의 냉정한 태도 꾸짖기
인도주의적 도움 제공
사회적 책임 강조와 반응
온정주의 정책에 대한 감사
제7장 전쟁유산 극복과 소비에트 정체성 재정립
냉전시대의 소비에트인
전후 소비에트 도덕
전쟁잔재 청산
여성의 임무
전후 노동규율
제2부 옐친과 푸틴 시기 전쟁의 기억
제8장 역사 교과서를 통한 전쟁기억 재정립
돌루츠키 교과서 사태와 푸틴 정부의 대응
1939년 독-소 상호불가침조약 체결에 대해
‘카틴 숲 학살’ 사건과 이웃 국가 주민 억압에 대해
전쟁 중 서부 국경지역 소수민족 강제 이주와 부역에 대해
전쟁 중 소련 인민의 태도와 전쟁 승리 요인에 대해
제9장 국가 통합의 도구로서 전쟁기억
옐친 정부의 전쟁기억 정치
군사 퍼레이드의 부활
‘제1초소’의 부활
‘군대명예의 날’ 제정
푸틴 및 메드베데프 정부의 전쟁기억 정치
‘군사명예의 도시’ 프로젝트
러시아 공간의 통합
국경지역 단속
제10장 전방의 전쟁기억과 기념: 스몰렌스크
지역 주민과 지방정부의 ‘군사명예의 도시’ 칭호에 대한 인식
스몰렌스크 지역의 ‘전쟁기억 붐’
‘군사명예의 도시’에 대한 갈망
제11장 극동의 전쟁기억과 기념: 사할린과 하바롭스크
극동지역의 전쟁기억
사할린 정부의 자기 정체성 찾기
옐친 정부의 기억정치와 실용주의
메드베데프 정부의 영토 수호 의지
극동지역의 기념일 정치와 새로운 상징 만들기
기억정치의 딜레마
제3부 신생독립국과 러시아의 기억전쟁
제12장 에스토니아와 조지아의 기억전쟁
에스토니아의 러시아 타자화 정책과 기념비 전쟁
조지아-러시아 갈등과 조지아의 기념비 전쟁
러시아의 기념비 전쟁과 타자 인식
제13장 우크라이나의 기억전쟁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기억정치
2004년 ‘오렌지혁명’ 이후 기억정치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기억정치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발발 이후 기억정치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기억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