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3
1장: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철학적 반성
1. 서론 21
2.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 이유 23
3.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 내용들 30
4.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 40
5. 결론 46
회고와 재검토
1. 나의 기억 속에 있는 한국 민주주의 48
2.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도전 51
3. 민주주의의 자기 수정 역량 56
2장: Phronesis와 Praxis
1. 실천 없는 지식인은 사회의 암적 존재인가? 61
2. phronimos는 누구인가? 64
3. 실천적 지혜의 예비조건들 66
4. phronimos의 선택과 실천 72
회고와 재검토
1. 이론과 실천의 균형 76
2. 지행합일론과 지행공집론 78
3. 나의 작은 실천 82
4. 통일 운동과 생태적 실천 84
3장: 아리스토텔레스와 마르크스가 이해한 삶과 실천
1. 서론 91
2. 본론 97
1)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한 삶과 실천 97
2) 마르크스의 해방된 삶과 실천 102
3. 결론 111
회고와 재검토
1. 삶은 계란이다. 118
2. 관조적 삶과 종교적 실존 122
3. 나의 삶과 타인의 삶 125
4장: ‘세계화’에 얽힌 문제들과 그에 대한 철학적 반성
1. 문제 제기: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133
2. 언론의 세 가지 의식 조작 137
3. 세계화: 새로운 강자의 출현 142
4. 세계화 파장의 두 영역 146
5. 위험한 경쟁력 강화 이데올로기 152
회고와 재검토
1. Risk game과 세계지도 160
2. 1993년에서 1995년 163
3. 세계화 놀음(게임)이 초래한 세 가지 위기 165
4. 찰스 테일러의 혜안 172
5. 2022년에 대한 반성 174
5장: “John Locke의 인간론과 정치론에 대한 한 해석”
1. 서론 177
2. 로크의 철학 체계 179
3. 로크의 인간 이해 -정치론을 위한 전제 186
4. 로크의 정치론 -사회적 안정을 위한 시론(試論) 193
5. 맺음말 -로크 철학의 한국적 수용 201
회고와 재검토
1. 박정희의 ‘조국 근대화’와 근대철학 204
2. 로크 철학의 세 가지 열쇠 말 207
3. 21세기에서 본 로크 철학 212
6장: 존 로크의 재산권 이론: 단서 조항과 정의론에 대한 재해석
1. 서론 217
2. 로크 철학의 일이관지(一以貫之): 자유와 동의 219
3. 로크의 인간에 대한 이해 223
4. 로크 재산권 이론의 구조 분석 226
5. 정의와 자선 235
6. 남는 문제 244
회고와 재검토
1. 일이관지(一以貫之)의 허실(虛實) 248
2. 로크는 강남좌파인가? 254
3. 자선과 정의의 협주곡 260
7장: Hume의 철학에서의 회의주의와 독단주의 :종교에 관한 세 작품 분석
1. 들어가는 말 265
2. 흄의 회의주의론: 퓌론주의의 비판적 수용 267
3. 종교 문제에 대한 흄의 전략: 홉스, 로크와의 비교 274
4. 「기적론」 분석 276
5. 「종교의 자연사」 분석 281
6.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분석 285
7. 흄에게서 얻는 교훈: 회의주의와 건강한 신앙 289
회고와 재검토
1. 독단주의에 중독된 사람에게 가장 효과적인 해독제는 회의주의이다. 293
2. 독단주의에서 종종 발견되는 정서적 결함은 광기(madness)와 집착(obsession)이다. 295
3. 나는 은폐된 회의주의자(cloaked skeptic)이다. 298
4. 나의 종교적 편력 301
5. 종교에 대한 내 생각은 어디에 머물러 있는가? 306
8장: 공감과 연민의 감정의 도덕적 함의
1. 문제 제기: 왜 공감, 연민의 감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가? 321
2. 이성과 감성의 헤게모니 싸움 323
3. 공감, 연민의 감정이란 무엇인가? 326
4. 공감과 상상력 330
5. 연민의 감정(pity), 자비 그리고 충서 334
6. 연민의 감정과 공감 교육 339
7. 맺는말 344
회고와 재검토
1. 나의 좌우명들 346
2. 공감 개념의 가족 유사성 350
3.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노예여야만 하는가? 352
4. 공감의 힘 355
9장: 새로운 호모 에두칸두스(homo educandus)를 위하여
1. 서론 369
2. 전통 교육이 지향한 인간형 371
3. 현대 한국 교육의 비인간화와 인문학의 위기 378
4. 루소의 자연인과 전인교육론 383
5. A. N. 화이트헤드와 C. P. 스노우로부터의 교훈 391
6. 남겨진 문제 396
회고와 재검토
1.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다. 398
2. 조직인의 소멸(?)과 학교의 ‘명백한 위기’ 401
3. 세 가지 한국 교육의 모델 406
10장: 복종에 대하여(On Obedience)
1. 왜 복종이 문제인가? 415
2. 복종과 불복종의 간극 418
3. 소크라테스의 복종과 불복종 421
4. 홉스의 계약론과 적극적 복종 424
5. 버클리의 소극적 복종 429
6. 흄; 복종과 저항권 434
7. 결론; 소극적 복종의 제 자리 438
회고와 재검토
1. 왜 이 글을 쓰게 되었는가? 441
2. 분노와 저항: 논개의 경우 443
3. 복종과 불복종의 종류 447
4. 불복종은 어렵고 복종은 쉬운가? 450
5. 시민 불복종 운동의 정당한 조건은 무엇인가? 453
6. 철학사는 문제아들의 기록이다. 455
11장: J. Bentham의 Panopticon Project의 폭력성 비판
1. 1791년, 1984년 그리고 2003년 459
2. 감시와 처벌; 국가권력의 확대 재생산 462
3. J. Bentham의 Panopticon project의 구조 465
4. Panopticon project에 은폐된 폭력성 473
5. 결론: 감시와 폭력적 처벌이 없는 사회를 위하여 480
회고와 재검토
1. 2003년에서 2005년까지 483
2. 악의 평범성과 폭력의 일상성 487
3. 동일성 문화의 폭력과 관용의 문화 494
에필로그 499
미주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