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첫째 마당 : 단군신화
Ⅰ. 환인은 누구 또는 무엇인가?
1. 환인
2. 환인·환웅이라는 이름
Ⅱ. 웅신의 실체
1. 단군신화에 보이는 熊과 虎
2. 호랑이의 실격?
3. 熊·龍·神
4. 곰나루 전설과 비교
5. 단군신화를 보는 현대 작가의 눈매
6. 마무리
부록
Ⅲ. 환웅천왕의 위상
1. 환웅의 집안계통[家系]
2. 백두산 천왕당
3. 천왕, 하나에서 셋으로
4. 마무리
부록
Ⅳ. 단군신화에 보이는 나무 신앙
1. 단군신화에 보이는 나무 신[樹神]
2. 신불(神市), 신단(神壇), 신수(神樹)
3. 나무 신앙으로 본 단군의 탄생
4. 불교경전 속의 나무 신
5. 마무리
부록
Ⅴ. 단군신화에 보이는 역사인식
1. ‘단군본기’에 보이는 단군의 후예
2. 단군조선, 민족사의 첫 장
3. 마무리
보론 : ‘웅이산’의 다른 이름 몇 가지
1. 머리말
2. 푯돌, 안내문 및 관련 기사
3. 또 하나의 웅이산
4. 고찰
5. 남은 문제
6. 지도 및 사진
원문과 역주
둘째 마당 : 신라의 왕권신화
Ⅰ. 선덕여왕에 얽힌 소문의 진실
1. 첫 번째 이야기
2. 두 번째 이야기
3. 세 번째 이야기
4. 마무리
Ⅱ. 신라의 세 보물과 거문고·만파식적
머리말
1. 옥허리띠와 검정허리띠
2. 만파식적의 대두 시기
3. 신라의 ‘세 보물’
4. 마무리
Ⅲ. 문무왕과 대왕암 - 숨은바위 ‘여’에 대한 서사
1. 무엇이 문제인가?
2. 문무왕의 장례
3. 백령도 당개 서낭당
4. 대왕신과 대왕신앙
5. ‘대왕-여’ - 경주 대왕암의 본색
6. 마무리
보론 : 울산 대왕암의 이름과 유래
1. 머리말
2. 울산 대왕암
3. 마무리
원문과 번역
셋째 마당 : 백제의 왕권신화
Ⅰ. 〈무왕〉조와 익산 미륵사 서탑사리기
1. 머리말
2. 문헌사료
3. 사리기
4. 무왕설화 이해하기
5. 〈무왕〉조와 〈사리기〉에 대한 여러 학설
6. 〈무왕〉조의 사료가치
7. 마무리
Ⅱ. 《삼국유사》 〈무왕〉조 및 익산 미륵사 서탑 사리기 연구를 뒤돌아보다
1. 머리말
2. 〈무왕〉조의 敍事(narrative)에 대한 오해
3. 〈舍利記〉에서 선화공주 찾기/救하기
4. 서동요 말뜻풀이(語釋) 비켜가기
5. 마무리
부록 1. ‘내 덕으로 산다’는 김좌수의 막내딸-영월읍 설화
부록 2. 내복에 산다
책을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