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 나도 식이장애인가요?
1. 다들 다이어트하잖아요?
건강한 다이어트와 거식증의 차이점
나의 다이어트 점검하기
2. 거식증과 폭식증을 반복하게 돼요
식욕은 억누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신체적 폭식과 정서적 폭식의 차이
3. 먹고 토하면 진정되잖아요
나의 폭식/구토 체크해 보기
가짜 배부름과 가짜 배고픔을 어떻게 구분할까?
‘배고픔’과 ‘배부름’ 알아차리기
4. 나만의 독특한 식사 규칙
5. 프로아나족처럼 마르고 싶어요
프로아나는 왜 위험할까?
* 생각해 보기/ 질문
2장. 먹어도, 토해도 채워지지 않는 마음
1. 공부도 1등, 몸도 제일 말라야만 해!: 대인 관계, 완벽주의
대인 관계에 대한 목마름과 완벽주의
자기 자신과 건강하게 만나기
2. 말라야 사랑받을 수 있어: 애정 결핍
잘못된 의사소통 방식과 세대 차이
비난을 이겨내고 건강하게 자신을 지키는 법
3.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아: 박탈감, 공감 부족
질투
분노
4. 다이어트를 해야 나를 통제할 수 있어: 칼로리 강박
감정 통제와 식이장애
칼로리 강박이 계속 유지되는 이유
* 생각해 보기/ 질문
3장. 먹는 문제보다 더 중요했던 것들과 마주하는 법
1. 나를 이루는 핵심 신념 알아보기
건강한 행동 사이클을 방해하는 가짜 자기
식이장애를 불러오는 가짜 자기
2. 핵심 신념 1.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야
3. 핵심 신념 2. 나는 나를 믿을 수 없어
핵심 신념을 타임 테이블로 그려 보기
4. 핵심 신념 3. 나는 중요한 사람이 아니야
자기 비난이 식이장애 증상으로 이어지다
* 생각해 보기/ 질문
4장. 오늘부터 건강해지기
1. 내 마음의 중심에 ‘관찰하는 셀프’를 리더로 데려오기
2. 규칙적인 식사로 뇌를 안정화시키기
3. 식이장애 증상은 마음의 병으로 생긴 감정 조절의 문제
4. 식이장애 증상이 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feat. 삼위일체의 뇌)
5.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기: 파트 구별
6. 건강한 감정 조절의 대안들
감정 조절을 위해 나의 취약함 예방하기
나에게 도움이 되는 긍정적 자원 찾기
안정을 위한 신체 자원 만들기
* 생각해 보기/ 질문
● 한국판 청소년용 식이 태도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