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ㆍ5
제1장 조선 후기 서구의 충격과 조선의 대응
1. 부연사신의 전문(傳聞)과 구라파 인식ㆍ17
2. 표착인을 통한 서구 인식ㆍ30
3. 한역 서학서 도입과 서구 인식ㆍ43
4. 조선의 천주교 배척과 사교(邪敎) 단죄ㆍ49
제2장 19세기 한영 항해 문화교류와 조선의 해금정책
1. 영국의 대한 통상교역 시도ㆍ65
2. 영국 탐험선 프로비던스호의 부산 용당포 내박(1797)과 한영 문화교류ㆍ79
3. 황사영백서사건과 대박청래운동 신유사옥(1801)ㆍ109
제3장 영국 군함 알세스트호와 리라호의 조선 서해안 탐사와 언어문화 교류
1. 영국 알세스트(Alceste)와 리라(Lira)호의 조선 서해 5도 탐사(1816)ㆍ119
2. 맥스웰 함장과 조선 지방관과의 교섭(1816)ㆍ137
3. 한영간 교환(交驩)과 언어 문화교류ㆍ141
제4장 영국 로드 애머스트호의 통상교섭 강요와 귀츨라프의 한글문화 서구세계 전파
1. 영국 로드 에머스트호의 조선 서해안 탐사항행(1832)ㆍ151
2. 린제이 함장의 통상교역 청원서(1832. 7. 12)와 조선의 절대 빈곤상ㆍ160
3. 조선 통상교역 거절과 귀츨라프의 선교활동ㆍ171
4. 귀츨라프의 한글문화 서구세계에 첫 전파ㆍ818
5. 귀츨라프의 감자재배법 전수ㆍ200
제5장 영국 사마랑호의 제주도·거문도 탐측항행과 한영 언어문화 교류
1. 사라랑호의 제주도 탐측항행(1845)ㆍ209
2. 사라랑호의 거문도 탐측항행(1845)ㆍ235
3. 한영 언어문화 교류ㆍ244
제6장 한국의 축하사절단 파견과 한영러 외교관계
1. 한영 수교와 한영 외교관계ㆍ275
2. 러시아 니콜라이 대관식 축하사절단(閔泳煥)과 한러밀약(1896)ㆍ276
3. 영국 빅토리아 여왕 즉위 60주년 민영환 특사 축하사절단 파견(1897)ㆍ321
4. 영국 에드워드 7세 대관식 이재각 특사 사절단 파견과 한영관계(1902)ㆍ340
5.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 강제 체결로 한국 국권 상실(1905)ㆍ363
제7장 이종응의 서사록과 서유견문록(1902)
1. 서사록 해설ㆍ389
2. 서유견문록 해설ㆍ394
3. 이종응의 서사록 전문 번역ㆍ399
4. 이종응의 한글 전용 기행가사 서유견문록(총 422행)ㆍ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