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차 례
책머리에 4
들어가는 말 11
1. 조선 서원의 탄생 19
2. 서원관의 변화: ‘과업지소(科業之所)’에서 ‘도학지소(道學之所)’로 27
과거 공부의 명소가 된 16세기 소수서원과 주세붕의 서원관 29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을 확립한 이황의 서원관 33
3. 유학의 교육 원리가 철저히 구현된 서원의 교육 공간 39
서원은 왜 경치 좋은 곳에 있을까? 41
서원의 공간 구성에 반영된 교육 원리 47
4. ‘관계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한 서원의 공부법 63
몸과 마음의 소통을 위한 공부법 65
지식 전수와 의례의 통합 69
‘호혜적 관계’를 위한 공부법 74
5. 서원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교육 활동과 유생들의 하루 일과 85
서원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교육 활동 87
‘거재’의 절차와 유생의 하루 일과 90
‘거접’의 절차와 유생의 하루 일과 99
6. ‘과업’과 ‘도학’의 조화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소수서원 107
16세기 소수서원의 특권적 지위와 교육의 관학적 성격 112
17세기 과업에 대한 비판과 ‘파격’ 논쟁 120
18세기 도학서원으로의 정착과 교육 과정의 변화 128
19세기, 시험을 통해 시험의 폐해를 가르치다 146
7. 학규에서는 과업을 금했으나 현실에서는 병행한 석실서원의 일화 155
과업을 엄격히 금지한 석실서원 학규와 ‘실심·체행’의 강학 이념 157
공부의 네 가지 등급과 ‘유학의 적’으로 규정된 ‘과업’ 174
어느 해 과거시험이 있던 날, 석실서원에 홀로 남겨진 스승 김창협 181
나오는 말 193
참고문헌 198
저자 소개
기 획 한국국학진흥원(권진호, 김형수, 이남옥, 최은주, 나영훈, 조인희, 권지은)
한국국학진흥원은 ‘국학진흥을 통한 글로컬 시대의 인류문화 창달에 기여’라는 목표 아래 전통 기록유산을 중심으로 민간 소장 국학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 보존과 연구 활용 사업을 펼치고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 고문헌과 유교 책판 등의 기록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데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런 기록유산들 속에 알알이 박혀 있는 한국적 스토리텔링 소재를 발굴하여 콘텐츠 제작 현장에 제공하는 일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을 통해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선현들의 지혜를 전승하고, 한문교육원과 유교문화박물관을 운영함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에도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저 자 김자운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공주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선시대 소수서원 강학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관계의 교육학’을 키워드로 동서양 교육이론의 소통과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 『석실서원』, 『사라진 스승: 다시 교사의 길을 묻다』, 『한국 서원의 로컬리즘』, 「1765년 호계서원《 대학》 강회 연구」,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퇴계와의 대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