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참고문헌
1부 서울굿의 여러 측면
1장 서울굿 신령 대신의 의미와 기능
1. 머리말
2. 서울굿 대신의 존재 양상
3. 황해도굿 성수와의 비교를 통한 대신의 의미
4. 굿거리 비교를 통한 대신의 의미 확장
5. 맺음말-서울굿 대신의 기능과 의미
2장 서울굿 천연두신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과 의미
1. 머리말
2. 서울굿에 나타난 천연두에 대한 인식
3. 타 지역굿의 천연두신에 대한 인식
4. 맺음말-서울굿 천연두신에 대한 인식의 의미
3장 ‘사자’를 중심으로 한 생전예수재와 서울 진오기굿의 세계관 비교
1. 머리말
2. 생전예수재 〈사자단〉의 구성과 연행
3. 서울 진오기굿 〈사자거리〉의 구성과 연행
4. 사자를 통해본 불교와 무속의 세계관 차이
5. 맺음말
2부 지역 무당굿의 양상
4장 강원 태백굿의 양상과 특징
1. 머리말
2. 태백굿의 종류와 짜임
3. 태백 진오기굿의 구성
4. 태백 진오기굿의 구조와 의미
5. 맺음말-태백 진오기굿의 지역문화적 위상과 가치
5장 강원 태백 진오기굿의 의미-초혼ㆍ이혼ㆍ삼혼망자굿 무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초혼망자굿, 이혼망자굿, 삼혼망자굿 무가 고찰
3. 태백 진오기굿의 의미와 기능
4. 맺음말
6장 강화 외포리고창굿의 변화상-당주무당의 굿당 신령 좌정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강화 외포리 고창굿 개관
3. 2023년 연행 외포리고창굿의 양상과 정정애 만신 초상의 봉안 과정
4. 맺음말
7장 황해도 진적굿의 구성과 의미
1. 머리말
2. 진적굿의 구성
3. 진적굿의 기능
4. 맺음말
8장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
1. 머리말
2. 진오기굿과 재수굿의 연행 방식 비교
3. 〈수왕제석거리〉의 연행 양상과 기능
4. 맺음말
9장 강릉단오굿 무가에 나타난 제의성과 놀이성의 조화
1. 머리말
2. 일반무가 〈부정굿 〉 〈청좌굿〉에 나타난 제의성과 놀이성
3. 서사무가 〈세존굿〉에 나타난 제의성과 놀이성
4. 극무가 〈도리강관원놀이〉에 나타난 제의성과 놀이성
5. 맺음말-강릉단오굿 무가 비교 검토를 통한 제언
3부 무당굿의 기능과 의미
10장 한국 풍어굿 신당 봉안 신령의 존재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2. 풍어굿 신당 봉안 신령의 존재 양상
3. 풍어굿 신당에 나타난 신령의 양상
4. 맺음말-풍어굿 신당 봉안 신령 존재 양상의 의미
11장 무당굿의 위로와 치유의 기능
1. 머리말
2. 무당굿의 위로와 치유의 기능
3. 무당굿이 가진 위로와 치유의 기능의 의미
4. 맺음말-굿의 역동성을 위하여
12장 재수굿의 절차 및 전승 양상
1. 머리말
2. 기본 굿으로 재수굿의 존재와 다른 굿으로의 확장-서울굿과 황해도굿
3. 재수굿의 다양한 존재와 씻김굿과의 혼합-호남굿
4. 무속 환경의 변화에 따른 재수굿의 향방
13장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1. 머리말
2.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몇 가지 시각
3. 지역별 무당굿춤의 명칭과 전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