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매개되어 분투하는 행위자들의 젠더스피어
1부 파르마콘의 커뮤니티: 적대와 연대의 길항
동시대 남성 중심 온라인 커뮤니티의 젠더 인식 (김수아)
오정보 대응을 위한 커뮤니티 기반 전략 (이진하·니콜 산테로·아르피타 바타차리아·엠마 메이·엠마 S. 스피로)
한국문화를 수용하는 인도의 청년들 (프리야 고하드·네하 가트판데)
2부 젠더화된 테크네의 신체들: 독자, 관객, 노동자
웹소설의 ‘여성 취향 장르’에 대한 고민과 또 다른 서사의 탐색 (안상원)
영화 다양성과 포용의 역량을 키우기 (조혜영)
“레디 노동자 투” (자오 멩양)
3부 정보와 ‘감염(바이럴)’을 둘러싼 배제와 저항의 실천들: 전파매개적 신체성과 기술사의 재구성
위치지어진 개발자 (이지은·임소연)
체현된, 감정적인 그리고 임파워링하는 (자오 펑 첸지)
하이터치 미디어 (카잇 맥킨니·딜런 멀빈)
케이팝 팬덤의 행동주의와 젠더화된 정동 (이지행)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