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연구 현황과 접근 방법
1장 낙랑·대방군의 소멸과 군현계 토착집단의 귀속
1. 고구려의 낙랑·대방군 공략과 두 군의 소멸 과정
2. 낙랑·대방군 고지 내 토착·외래 집단의 귀속
2장 4~5세기 화북 지역의 혼란과 이주민 집단의 유입
1. 화북 지역의 유이민 발생 추이
2. 4세기 고구려의 이주민 수용
3. 이주민의 낙랑·대방군 고지 안치
3장 고구려 체제하의 중국계 주민집단 편성
1. 이주민 집단의 정체성과 본적 표기
2. 이주민 집단의 인식을 반영한 관호官號
3. 이주·토착민을 포함한 군집群集의 편성과 그 배경
4장 중국계 주민집단의 전통과 지향
1. 낙랑·대방군 고지의 고분 속에 구현된 대외용 서사와 구성 의도
2. 고분 속에 보이는 정치·사회적 지향
3. 이주집단의 신앙·가치관과 ‘칠보행사도’
맺음말
보론 6세기 고구려의 북위北魏 말 유이민 수용과 ‘유인遊人’
1. ‘유인’ 관련 기사의 검토
2. 북위 말 유이민의 안치와 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