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옮긴이의 말
내용 요약
제1편 판단 의문 감탄 초점
1.1 선진 시기 판단 표지 ‘也’ 및 그 기능의 변천
1.2 판단사로 발전한 지시 대명사 ‘是’
1.3 선진 시기 의문 형식의 유형적 전환
1.4 의문 표지가 감탄 표지로의 발전
1.5 감탄 표지로 발전한 의문사 ‘多’
1.6 의문과 초점의 역사적 연관성
1.7 의문 대명사의 기능 파생을 제약한 문법 체계
1.8 새로 발전한 ‘有没有 + VP’ 의문문
1.9 부정 표지로 발전한 의문 대명사
제2편 동사성 구조와 표지
2.1 동보 구조의 역사적 유래
2.2 동보구의 융합을 추동한 쌍음화 추이
2.3 사용 빈도가 동보 구조에 미친 영향
2.4 의미의 상관성과 동사와 보어의 융합
2.5 동보 구조가 발전한 문법 환경
2.6 동보 구조의 발전 과정
2.7 체표지가 생성된 역사적 조건과 과정
2.8 완료 체표지로 발전한 소유 동사
2.9 부정 표지 체계의 역사적 변천
2.10 동사 중첩이 나타난 역사적 환경
2.11 서술어 구조의 유계화
2.12 현대중국어 문장의 정보 구성 원칙의 형성
2.13 동사 복제 구조의 생성 과정
2.14 ‘连’자 구조의 생성 과정
2.15 비교문의 구조적 변천
2.16 문법 구조 변천이 형용사와 부사 표지에 미친 영향
2.17 동보 구조가 유발한 형태론적 변화
2.18 동보 구조가 추동한 문법의 발전
2.19 방언에 나타난 동보 구조 발전의 불균형성
부록1: 언어학 용어 대조표
부록2: 작품명 대조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