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더 나은 세상을 물려주고 싶습니다 ㆍ 5
제1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까닭은-너무 좋아진 세상의 역설
제1장 부모는 저절로 되는 게 아니었다-부모가 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것들
머리가 하얘지던 날 ㆍ 17 / 누가 키울래?-기회비용이 커진 세상 ㆍ 23 / 러닝머신 위에 멈춰서다-경망남이 되다 ㆍ 34 / 천국의 무인도-고립된 삶 ㆍ 45 / 육아의 교훈-포기는 배신하지 않는다 ㆍ 50
제2장 애 가진 죄인-이등시민으로 강등
아이와 함께 이동하는 건 어렵다 ㆍ 61 / 인프라의 상실-공중화장실이 없는 세상에서 산다면 ㆍ 69 / 생활권의 제약-약을 찾아 삼만 리, 지역육아의 현실 ㆍ 75 / 기준의 상실-감사무새가 되다 ㆍ 81 / 이등시민의 배제-노키즈존? 노키즈타임! ㆍ 86 / 강아지만큼도 대우받지 못하는 아이들 ㆍ 94
제2부 너무 어려워진 세상-복잡한 세상은 아이에게 더 가혹하다
제3장 우리 사회의 가스라이팅-일과 가정의 양립
양립? 가정의 일방적 희생!-일하는 아빠의 하루 ㆍ 103 / 양립이 가능한 환경인가?-병원에 개근한 아빠 ㆍ 112 / 양립이라는 기만의 결과는?-돈이 없어 안 낳는 것이 아니다 ㆍ 122 / 맡기기도 힘든데, 맡기기는 불안해 ㆍ 131 / 국가가 키워 준다고요? 맡기면 다 되나요?-아이의 중이염 ㆍ 139 / 처음엔 누구나 그럴듯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ㆍ 150
제4장 어려워진 육아-잘 키울 자신이 없다
아이는 정말 저절로 크는가?-육아의 노동 강도 ㆍ 163 / 노오력이 부족한 극성 부모들 ㆍ 171 / 대충 잘 키워야 하는 세상-지금 마을은 어디 있는가 ㆍ 186 / 산업화된 육아와 불신비용 ㆍ 193 / 내가 늦둥이 아빠라고?-체력의 한계 ㆍ 198 / 백만 원 육아도우미가 있으면 우린 행복해질까 ㆍ 205 / 어차피 엄마를 좋아해-함께 육아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ㆍ 214
제3부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의문 아이가 먼저인 세상이 될 수 있을까
제5장 노동의 변화가 필요하다-저출산의 본질은 노동 문제
바보야, 문제는 근로시간이야! ㆍ 227 / 육아휴직 유감 ㆍ 239 / 경력을 무너트리지 않는 육아휴직이 필요하다 ㆍ 248 / 어떤 이상한 회의-일하는 문화의 변화 ㆍ 253 / 기업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ㆍ 257
제6장 육아 인프라는 어디에-돈이 아닌 아이를 아끼는 사회로
둘째가 없는데 셋째를 어떻게 낳아요? ㆍ 263 / 정답은 한 가지가 아니다 ㆍ 270 /육아에 대한 인정을 ㆍ 279 / 세대 유감-교육이 필요하다 ㆍ 283 / 어린이집 선생님은 천수관음보살이 아니다 ㆍ 287 / 로컬 체인점에서 본 희망-전북의 빈타이에서 ㆍ 293 / 시선을 바꿔 보자 ㆍ 297 / 0.72는 원인이 아니라 결과다 ㆍ 302
맺음말-우리 사회 현실 문제의 축소판, 저출산과 육아 ㆍ 312
주 ㆍ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