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1. 저술 배경으로서 문명권 논의와 책의 구성
2. 카자흐스탄의 노마드적 정체성 확립
3. 초원길을 생각하며 신노마디즘으로 형제국가의 미래를
제1장 알타이 문화연대 형성, 한민족의 시원을 찾아서
제1절_ 알타이 지역을 기원으로 하는 형제국가
제2절_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계통적 친연성에서 온 연결고리 4가지
제3절_ 신이 내린 축복의 땅, 동카자흐스탄의 관광자원
제4절_ 미래 인류 문명사의 새출발을 위한 성지(聖地)로서의 알타이
제2장 새로운 카자흐스탄으로 아스타나는 이륙준비 완료
제1절_ 무(無)에서 유(有)로 거듭나다
제2절_ 미래도시, 유라시아 양식을 찾아서
제3절_ 아스타나 근교의 자연명소들
제4절_ 디지털 알타이 연대의 센터로서 초원길 부활
제3장 검은 황금의 땅, 카스피해 연안 개발
제1절_ 자원 부국 카자흐스탄의 고민
제2절_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자원 개발 협력
제3절_ 카스피해 주변 신비한 보물반도
제4장 시르다리야 강가에서 세 번 놀란 까닭은?
제1절_ 시르다리야 강가의 전설적 인물, 코르큿 아타
제2절_ 다민족 카자흐스탄의 자랑스러운 코리안 디아스포라
제3절_ 우주와 가장 가까운 곳 바이코누르 우주 발사기지
제4절_ 시르다리야강을 따라서 바이코누르 관련 볼거리
제5장 실크로드 오아시스의 길 카라반 쉼터 타라즈와 쉼켄트
제1절_ 타라즈가 고선지 장군의 탈라스?
제2절_ 낙타행렬의 실크로드가 철길·도로 및 디지털로 부활하다
제3절_ 역사를 품은 도시, 타라즈 일대 여행하기
제4절_ 잠시 쉬었다 가실래요? 쉼켄트에서
제5절_ 잃어버린 도시 오트라르성 유적과 투르키스탄을 찾아서
제6장 경제문화의 수도, 중앙아시아의 허브 알마티
제1절_ 유럽과 아시아, 그 경계의 작은 보석
제2절_ 테마로 알아보는 알마티 시내 관광루트
제3절_ 천혜의 자연환경 속 진정한 자유를 찾다
제4절_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근교지 여행을 떠나보자!
제7장 까레이스키의 성지 우슈토베에 오기까지: 고려인의 여정과 정착, 그리고 내일은?
제1절_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현주소는?
제2절_ 왜 극동에서 강제이주를 당해, 첫 정착지 우슈토베로 왔는가?
제3절_ 어떻게 고려인 청년이 신랑감 1호가 되었는가?
제4절_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에 새것 수용하면서 정체성 유지
제5절_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시대변화에 따른 적응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