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을 시작하며
제1부-언론의 기능과 언론윤리
제1장 언론의 기본적 역할과 언론에 대한 비판
새벽에 군인들이 방송국을 점령한 이유
언론의 자유’가 수행하는 4가지 기능
비판적인 언론 소비와 언론의 본질에 대한 이해
제대로 된 정보 전달 위해서는 언론의 품질도 중요
제2장 언론윤리의 세 가지 기본 원칙
언론윤리 제1 원칙: 사실성
언론윤리 제2 원칙: 공익성
언론윤리 제3 원칙: 독립성
제3장 소비자가 결정하는 언론의 품질
소비자 눈치를 보는 한국 언론
보도에 대한 ‘정상적 비판’과 ‘정치적 공격’을 가려야
소비자의 요구가 언론의 수준과 품질을 결정한다
제2부-AI·SNS 시대, 모두가 알아야 할 쟁점들
제1장 명예훼손 관련 쟁점들
사실을 언급해도 책임을 질 수 있다
실명 보도와 익명 보도, 무엇이 원칙일까?
대상자가 특정되는지가 중요하다
공익성이 있으면 책임을 면할 수 있다
의견으로는 명예를 훼손할 수 없다
제2장 초상권 보호 문제
모두가 피해자와 가해자가 될 수 있는 초상권
언론윤리 규범에 규정된 초상권 보호
사람들 앞에 나서면 초상권 보호도 사라진다
제3장 사생활 보호 문제
공익성과 선정적 호기심의 차이
언론윤리 규범은 사생활 보호를 어떻게 규정하나?
공개될 수 있는 사생활과 그렇지 않은 것의 구별
제4장 공인의 범위와 효과
판례를 통해서 살펴본 공인의 범위
행정부 규칙에 나타난 공인의 범위
공인 여부 판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나
제5장 취재에 관한 윤리적 쟁점들
취재할 때도 예의를 지켜야
취재할 때는 꼭 신분을 밝혀야 하나?
신분을 밝힌 ‘공식 취재’가 중요한 이유
제6장 취재에 관한 법적 쟁점들
취재원과 대화를 녹음하면 안 되나?
취재는 합법적으로 해야 한다
청탁금지법과 취재 활동
제7장 저작권과 관련한 쟁점들
사실 자체는 누구의 것도 아니다
남의 노력을 존중하는 것이 원칙이다
저작물도 정당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8장 범죄 보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
범죄 보도를 하는 이유
법원이 실명 범죄보도를 금지한 이유
무죄추정 원칙과 수사 중인 사건 보도
언론이 피의자 신상을 공개해도 될까?
제9장 사실 보도를 둘러싼 쟁점들
오보는 불가피하다
따옴표 저널리즘은 무엇이 문제인가?
사실 보도라고 뭐든 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제10장 허위조작정보 혹은 ‘가짜뉴스’ 문제
허위조작정보 문제의 심각성
AI와 SNS의 허위조작정보에 넘어가지 않는 방법
언론 보도에 대한 ‘가짜뉴스’라는 공격
제11장 언론의 정파성과 신뢰 문제
블랙홀이 된 정파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이해충돌이라는 오래지만 새로운 과제
언론 신뢰도는 사회적 신뢰 문제다
제12장 언론에 대한 수사나 출석 요구
언론에 대한 강제 수사 문제
취재원 보호 원칙과 법적 절차의 충돌
제3부-언론윤리와 법적 문제에 관한 실용적 조언들
제1장 명예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기억할 것들
누군가를 비판할 때는 법적 문제에 대비해야
명예훼손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감정적·자극적 표현의 위험성
당사자 반론의 중요성
제2장 초상권 침해 문제를 피하는 방법
섭외와 동의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야
촬영은 최대한 공개적으로…특정인 부각 유의해야
촬영할 때 유의할 사항들
제3장 언론에 대한 불만을 처리하는 적절한 방법
당사자들 사이의 자율적 분쟁해결이 제일 좋다
불만이 접수된 뒤의 대처 방법
분쟁해결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