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인사말
시詩 : 소중하고 아끼고 아끼는 보석, 보물
-10ㆍ24 자유언론실천선언 50주년에 부쳐
서문 : 한국언론사의 기념비 자유언론실천선언 50년
전사(前史)
1. 해방 이전 언론의 역사
○ 제도적 탄압의 시작과 일본의 영향
○ 민간지의 등장과 그 성격
○ 민족지를 표방했던 동아와 조선의 변절
2. 미 군정의 언론 탄압
○ 해방 직후의 언론 상황
○ 미 군정과 친일 언론 복간
○ 미 군정의 친미 반공주의 언론 지원
○ 동아일보의 모스크바 3상 회의 결과 오보의 영향
3. 이승만 정부의 출범과 언론의 정파적 분화
○ 이승만 정부의 언론통제법 제정 시도
○ 친미 반공 우익 언론의 분화
○ 이승만 정부의 언론 탄압
4. 5·16 쿠데타와 3공화국 정권의 언론정책
○ 이승만 하야와 장면 정부의 한계67
○ 민족일보의 수난
○ 5ㆍ16 군사 정권의 언론 정책
○ 언론윤리위원회법 파동
○ 박정희 정부의 언론 탄압
○ 박정희 정부 당시 언론 기업화의 의미
1부 1970년대 자유언론실천 운동의 전개
1. 자유언론실천 운동의 태동
○ 3선 개헌과 언론장악
○ 전태일 분신과 대학가의 언론비판
2. 전국적인 언론자유수호 운동
○ 14개 언론사의 언론자유수호 선언
○ 제2차 언론자유수호 선언의 확산
3. 노조 결성과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
○ 동아일보의 언론노조 결성
○ 31개 언론사의 자유언론실천선언
○ 한국일보 기자들의 노조 창립
○ 권력의 백지광고, 민중의 격려광고
○ 조선일보 기자들의 자유언론 실천
4. 동아·조선 투위 결성과 투쟁
○ 사주의 배신과 투위 결성
○ 민주 민족언론 선언과 민중 연대
○ 제도언론의 침묵과 〈민주인권 일지〉
2부 1980년대 이후 자유언론실천 운동
1. 1980년 전국적인 제작거부 운동
○ 유신체제에 저항하는 언론인들
○ 검열의 실상, K-공작계획
○ 기자협회의 부활과 검열거부 및 제작거부 결의
○ 5ㆍ17 쿠데타-동아투위와 기자협회의 수난
○ 광주민주항쟁-들불처럼 일어난 검열거부 및 제작거부 투쟁
2. 굴종의 길과 자유의 길
○ 폐허가 된 언론계
○ 언론사 통폐합과 언론기본법 제정
○ 민주언론운동협의회의 활약 : 다시 자유의 길로
○ 독재권력에 파열음 낸 〈말〉
○ 보도지침 폭로
3. 한겨레 창간과 언론노조 운동
○ 언론인들의 활약과 무너진 보도지침
○ 민주대항쟁
○ 한겨레신문 창간
○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창립
○ 방송민주화투쟁과 자본권력의 대두
○ 미디어오늘 창간과 새언론포럼 창립
4. 해직 언론인들의 명예회복 투쟁
○ 전국해직언론인원상회복쟁취협의회의 활동
○ 언론탄압진상규명협의회 결성과 진실ㆍ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상 규명
○ 동아투위의 국가 상대 손해배상청구소송
5. 현재 진행형인 자유언론실천선언
○ 민주정부의 언론개혁 10년과 언론산별노조 건설
○ 수구정권의 공영방송 파괴와 미디어법 날치기
○ 언론사 대파업, 뉴스타파 창립
○ 자유언론실천재단 활동
○ 개혁을 외면한 뒤에 찾아온 반동의 역사
3부 현재 실천 과제로서의 자유언론실천선언
1. 자유언론실천선언 50년-미완의 과제
○ 1987년 이후 언론자유 투쟁
○ 언론개혁 운동과 언론계 분열
1) 조중동의 권력화와 구조적 언론개혁 필요성의 대두
2) 방송제도 개혁과 언론사 세무조사-김대중 정부
3) 신문개혁, 미완의 성과-노무현 정부
○ 언론 자유의 후퇴-이명박 정부
1) 공영방송장악
2) 우호적인 방송 시장 체제 구축
○ 개혁에 미온적이었던 문재인 정부
○ 또 다시 후퇴한 언론 자유-윤석열 정부
2. 자유언론실천선언 50년 현재의 과제
○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
○ 언론자유의 현재적 실천 과제
부록
자료
○ 선언문ㆍ성명서ㆍ호소문 등
○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명단
○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명단
○ 안종필자유언론상 역대 수상자
○ 자유언론실천상 역대 수상자
○ 자유언론실천재단 언론운동기금 역대 수상자
연표
○ 자유언론실천선언 50년
자유언론실천선언50주년준비위원회
○ 대표자 명단
○ 소위원회 명단
자유언론실천선언 50주년 사업 후원 명단
○ 50주년 사업 후원자 명단
〈자유언론실천 50년〉 제작 격려 광고 참여자 명단
〈자유언론실천 50년〉 제작 격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