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제1장 통일정체성의 개념화-동질성과 이질성의 교차점에서
1. 마음의 차이
2. 동질성과 이질성의 공존
정치적 정체성 | 동질성과 이질성
3. 통일정체성 변화와 분석에 관한 시각
제2장 통일정체성의 변화-왜 ‘하나’가 되어야 하는가?
1. 한국의 「민족공동체통일방안」
노태우 정부 | 김영상 정부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
2. 중국의 본토의 일국양제(一國兩制)
1993년 장쩌민 시기 | 2000년 장쩌민 시기 | 2022년 시진핑 시기
3. 정치적 정당성으로서의 ‘하나’
제3장 통일정체성의 분화-왜 ‘하나’가 되기 어려운가?
1. 1987년 이래 한국 민중의 세대 내 인식 분화
노태우 정부 시기 | 김영상 정부 시기 | 김대중 정부 시기 | 노무현 정부 시기 | 이명박 정부 시기 | 박근혜 정부 시기 | 문재인 정부 시기
2. 1987년 이래 대만 민중의 세대 내 인식 분화
장쩌민 집권 시기 | 시진핑 집권 시기
3. 새로운 가치관으로서의 ‘하나’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