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진제
발간축사 | 의정, 석성우, 홍파, 김종규, 공종원
발간에 부쳐 | 김의정
책 머리에
시작하는 말
제1장 선차의 새벽을 열다
1. 하늘이 열리고 땅이 열리던 날 선차가 시작되었다 45
2. 한국 선차문화의 여명기 51
3. 잊혀진 끽다거를 깨우다 57
4. 신선의 선차에서 깨달음의 선차 67
5. 세상 밖으로 드러난 한국의 선차 71
제2장 선차의 원류
1. 웅이산에서 되살아난 달마선차 81
2. 법랑의 선이 사조사에서 다시 일어난다 89
3. 중국 천태산 반야천에서 고구려 파야 선사가 선차를 탄생했다. 97
4. 달마로부터 내려온 무상의 무명가사 107
5. 중국에 차 씨를 전파한 신라 김지장의 금지차 117
6. 한국의 선이 공공산 보화사에서 연원되었다 127
7. 남전 선사의 법인이 동국으로 간 까닭 135
8. 칠천 선사 석비 앞에서 다례를 올리며 선현에게 예를 올리다 147
9. 선차가 시작된 땅, 태산 영암사 153
10. 의춘에서 다시 일어난 황벽의 선차 159
11. 석옥청공 선사의 선맥을 고려로 이어준 태고보우 국사의 선향이 숨 쉬는 땅 하무산 167
-석옥청공은 태고보우에게 금린을 고려로 전승하다 177
제3장 한국의 선차문화
1. 천여 년간 이어져간 한국의 선차문화 183
2. 대의 차 씨 천태산 귀운동에서 전래되었다 189
3. 서당지장의 차맥이 지리산으로 간 까닭 193
4. 고려의 차문화를 중흥시킨 대각국사 의천 199
5. 매월당 초암차 불일암에서 연원되었다 205
6. 근ㆍ현대로 이어져간 화개동천의 차맥 213
제4장 선종사원의 다풍
1. 한국의 선차가 시작된 땅 오대산 우통수 221
2. 화랑도에게 세속오계를 가르친 원광 법사 225
3. 선종사원의 채다의식 233
4. 백장청규의 정신 계승한 백장차규 237
5. 불지종찰 통도사의 차맥 243
6. 승보종찰 송광사에 대대로 이어져온 차맥 251
7. 조계산 선암사의 다풍 261
8. 근현대로 이어져간 대흥사 다풍 269
제5장 선종다례 의식
1. 황매산 홍인 선사 대만보탑 앞에 올려진 세계평확의다례 281
2. 1200년 만에 드러난 무상선사사리탑에 최초로 올려진 헌다의식 287
3. 지리산 화엄사 사사자석탑 앞에서 연기 조사 어머니에게 차를 올리다 293
4. 세이다이사 대차의식 원효 무애차로부터 비롯되었다 299
5. 삼화령의 석조 미륵삼존불 앞에서 헌다의식 305
6. 500년간 묻혀버린 설 선사를 차로 깨우다 313
7. 조선도공의 영가들을 위한 추모 천도재 319
8.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도공의 넋을 기리다 323
제6장 선차의 한류
1. 연화불국 꽃피운 지장보살 차 331
2. 백림 선사에서 만난 명원 팔정선다도 337
3. 녹차미정으로 깨어난 무원의 차문화 341
4. 500년간 이어온 황제의 차, 대홍포 347
5. "나는 이렇게 들었다" 선차행다로 만나다 351
6. 독좌대웅봉 아래에서 펼쳐진 독좌 차행법 355
제7장 선차행다의 미학
1. 무상 선사의 선차지법 행다로 걸어 나오다 363
2. 중국의 선차표연 369
3. 천관 설법대에서 최초로 숙회 만다라 차행법으로 올린 현다의식 373
4. 세계가 주목한 반야로 본가의 독수공수선차 383
5. 염화미소에 담긴 서귀암 말차 행다법 387
6. 청명헌 "일일다반사 생활선차" 매일매일 조금씩, 일상의 즐거운 차수행 391
제8장 차와 음식의 만남
1. 차를 만나면 차를 마시고 밥을 만나면 밥을 먹는다 399
2. 우한에서 만난 선식 403
3. 일본 교토의 칸큐안에서 열린 일기일회 차회 407
4. 백양사 정관 스님의 선음식 411
부록 | 의정스님
발문 | 수만
부록 | 차맥원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