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익숙한 동양의 낯선 인물들을 찾아 떠나는 여행
1장 동남아시아 역사를 이끈 사람들
1.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근대화 역정: 우롄테
전도유망한 식민지 장학생, 첫 번째 귀향|근대화 개혁에 나선 페낭의 젊은 의사|제국 통치기, 폐페스트-아편에 맞서 싸우다: 강희정
2. 근대를 추구한 치앙마이의 마지막 공주: 다라랏사미
치앙마이 공주에서 “라오 여자”로|인질이자 외교관이었던 다라랏사미의 삶|전통을 사랑했던 개혁 지도자: 현시내
3. 급진적 이상주의자, 참극의 주인공이 되다: 폴 포트
"붉은 캄보디아"의 극단적 평등주의|크메르루주의 잔혹 행위와 대학살|예의 바르고 잘 웃던 상류층 소년|우익 친미 정권의 등장과 프놈펜 함락|소수 엘리트의 그릇된 신념이 낳은 비극: 하정민
4. 하노이의 옛 거리와 민중을 사랑한 화가: 부이쑤언파이
인도차이나 미술학교의 마지막 졸업생|주류 화단을 거부하고 자유로움을 추구하다|고난을 이겨낸 베트남의 얼굴: 이한우
5. 시대의 아픔을 함께한 반전 평화의 가르침: 틱낫한
틱낫한의 새로운 실험|참여 불교, 전쟁과 가난의 고통 속으로|망명지에서 펼친 반전 평화 운동|지금 여기에서 평화를: 하정민
6. 초대 헌법을 기초한 태국 민주주의의 상징: 쁘리디 파놈용
입헌 민주주의를 꿈꾸던 청년|혁명의 열기를 개혁의 동력으로|짜끄리 왕조의 섭정에서 망명자 신분으로|민주주의자로서의 삶, 되찾은 영광: 현시내
2장. 근대와 민주주의라는 갈림길
7. 인도네시아를 이끈 통합의 민족주의자: 수카르노
민족주의에 눈뜬 자바 청년|대중을 움직인 수카르노의 연설 정치|군부-공산당과 손잡고 강력한 독재 정치를 펼치다|군부 독재 종식과 메가와티 시대의 개막: 강희정
8. 식민 시대 마지막 화교 상인, 현대를 열다: 리콩치앤
동남아 화인 비즈니스 그룹의 후계자|거대 금융 기업 설립으로 정점에 서다|국민 국가 형성기, 등불이 된 리콩치앤의 삶: 김종호
9. 강소 도시 국가 싱가포르의 설계자: 고켕스위
신생 독립국이 된 이민자의 나라 싱가포르|제조 강국 싱가포르의 초석을 놓다|자주국방과 신교육 수립이라는 새로운 임무|강소국 싱가포르를 일군 고켕스위의 철학: 김종호
10. 실용 외교로 인도네시아 독립을 일구다: 모하마드 하따
제3세계 외교 전략의 창시자|미낭까바우족의 엘리트 청년|네덜란드 본토에서 펼친 반제국주의 운동|개혁과 통합에 나선 신생 독립국의 이인자|양두 정치의 주인공, 권력을 버리고 존경을 얻다: 정정훈
11. 민주주의를 열망한 저널리스트 작가: 목타르 루비스
인도네시아인의 눈에 비친 한국 전쟁|외곽 도서 출신의 청년, 민족주의와 만나다|독립 이후의 언론 활동: 수카르노 비판과 탄압|가택 연금 시기, 문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다: 정정훈
3장. 독립의 꿈, 민족의 청사진을 그리다
12. 근대 버마의 청사진을 그린 독립 영웅: 아웅산
청년기 학생 운동과 무장 투쟁|영국 식민지 정책에 맞선 버마인들|반제국주의 운동으로 얻은 국제적 명성|태평양 전쟁기 연합과 통합 전략|통일과 공존의 꿈은 유효한가: 김종호
13. 독립과 민주주의를 이끈 라오스의 붉은 왕자: 수파누웡
루앙프라방 왕자, 레닌주의와 만나다|왕자들의 권력 투쟁과 공산화|평화 없는 독립, 독립 없는 평화: 현시내
14. 제국을 물리친 베트남의 영원한 장군: 보응우옌잡
프랑스 식민 정부에 도전한 혁명적 민족주의자|항일 게릴라전과 인도차이나 전쟁|분단과 통일의 역사를 함께하다: 이한우
15. 21세기 첫 독립 국가의 초대 대통령: 샤나나 구스마오
포르투갈 카네이션 혁명과 동티모르의 독립|인도네시아의 개입에 맞서 저항군을 조직하다|광주인권상 초대 수상자의 독립 투쟁기|대한민국과 동티모르의 특별한 만남|위대한 독립운동가에서 정치인으로: 정정훈
16. 아시아 최초의 민족주의자, 첫 번째 필리피노: 호세 리잘
작가의 눈에 비친 식민지 필리핀 현실|조국의 아름다운 희망, 필리피노|제국을 움직인 호세 리잘의 문학적 성취: 김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