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폭력 비판에서 제노사이드 연구로
1. 폭력과 제노사이드
폭력이란|합법적 폭력과 정당한 폭력|법의 폭력성|반-폭력의 상상력|극단적 대량 폭력으로서 제노사이드
2. 폭력 연구의 계보
베버와 폭력 독점체로서 국가|갈퉁과 구조적·문화적 폭력|부르디외와 상징적 폭력|폭력의 사회학|현대성과 폭력
3. 망각에서 응답으로: 제노사이드 연구의 확장과 사회학
제노사이드 연구의 선구자들|사회과학과 제노사이드 연구|법학과 제노사이드 연구|제노사이드 연구가 봉착한 한계들
제2장 제노사이드의 탄생
1. ‘이름 없는 범죄’를 대면하고 응답하다: 라파엘 렘킨의 활동과 연구
생존을 넘어 운명을 자각하다|법과 언어로 미국과 유엔을 설득하다|“삶의 본질적인 토대들에 대한 파괴”
2. 국제법상의 범죄로 이를 방지·처벌해야 한다: 협약의 내용과 한계
3. 밀고 당기다가 타협하다: 협약의 쟁점과 논쟁
정치적 집단 포함 여부|제노사이드의 범위와 규모|‘의도’의 입증|제노사이드 방지와 처벌 방법|협약 논쟁의 의미
제3장 학계의 제노사이드 논쟁과 비판
1. 물리적인 대량 학살로 축소되다: 제노사이드 정의 논쟁의 쟁점과 비판
제노사이드를 정의한 첫 사회학자, 대드리안|협약 정의의 활용과 극복 사이에서, 페인과 초크·조나슨|초크·조나슨과 차니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들
2. 어디까지가 제노사이드인가: 제노사이드 범위 논쟁
홀로코스트와 제노사이드|유일무이한 홀로코스트|홀로코스트 유일무이성의 상대화|‘민족 청소’|‘민족 청소’의 국제법 용법과 제노사이드|‘민족 청소’와 제노사이드에 대한 학술 논쟁|제노사이드와 ‘사이드’들|폴리티사이드|에쓰노사이드|젠더사이드|‘사이드’들
3. 제노사이드 메커니즘 연구로
구조적 접근과 메커니즘 연구|사회심리적 메커니즘 연구|단계적 메커니즘 연구
제4장 제노사이드 이론의 사회학적 재구성
1. 의도: 제노사이드 행위 의도와 사회적 관계의 사회학
의도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제노사이드 행위의 ‘의도’에서 사회적 갈등의 ‘구조’ 이해로
2. 집단: 민간인 사회 집단과 사회학적 접근의 가능성
집단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국민·민족·인종·종교 집단”에서 민간인 사회 집단으로
3. 파괴: 사회적 파괴이자 전쟁의 한 형태
집단의 사회적 파괴|제노사이드와 전쟁 간의 관계
제5장 제노사이드와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1. 제노사이드 정의와 메커니즘의 재구성
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제노사이드 메커니즘의 재구성
2. 제노사이드로 구성한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정부 수립 및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무장 권력 조직들의 조직화|민간인 사회 집단들의 타자화|파괴와 부정
에필로그
“전시에는 사람을 재판 없이 죽일 수 있다?”|‘뉴라이트 김광동’|진실 규명이 아닌 부역자 심판기관?|제노사이드 범죄로 기소당한 이스라엘|76년 추방, 57년 점령, 17년 봉쇄|제노사이드 범죄에 대한 국가 책임과 가해자 처벌의 가능성
⚫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