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황장 소나무
1. 상장례의 규범이 된 소나무 관재
2. 소나무 관재 수급
3. 조선의 소나무 관재 수급 정책
4. 시대별 관재 가격과 상대적 가치
5. 소나무 관이 조선 후기 산림 황폐에 끼친 영향
6. 맺음말
2장 근대 톱이 목재 이용에 끼친 영향
1. 조선과 일본의 근대 톱
2. 조선의 제재 톱 제작
3. 일본의 제재 톱 제작
4. 1인용 제재 톱, 마에비키 노코기리
5. 조선의 제재용 톱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일까?
6. 맺음말
3장 국용주재, 율목
1. 위판의 규격
2. 위판의 조달 부서와 조달 방법
3. 분작제에 의한 밤나무 위판 조달
4. 봉산 지정(도작제)에 의한 밤나무 위판 조달
5. 송광사 율목봉산의 지정과 운영
6. 송광사 율목봉산의 위판 제작
7. 맺음말
4장 향탄(香炭)
1. 능원의 향탄산
2. 향탄산의 황폐화
3. 사찰의 향탄봉산
4. 탄봉산과 향탄봉산
5. 맺음말
5장 결론
부록_ 조선시대 왕실 고문서 ‘봉산(封山)’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