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한중관계사 연구 배경한
☆☆☆☆☆ 평점(0/5)
일조각 | 2024-09-30 출간
판매가
55,000
즉시할인가
53,3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장 지구지역사 및 동아시아사 시각하의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기존 연구성과 및 연구시각 검토
Ⅰ.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Ⅱ. 새로운 관점의 모색: 지구지역사 및 동아시아사 시각하의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Ⅲ. 차례의 구성과 문제 제기

제1장 동아시아 공화혁명으로서의 신해혁명과 한국(1903〜1913)
들어가는 말
제1절 동아시아 공화혁명으로서의 신해혁명
Ⅰ. 청일전쟁 이후 중화제국체제의 와해와 한중관계의 변화
Ⅱ. 중국 공화혁명의 전개와 청조의 멸망
Ⅲ. 공화혁명의 확산-한국과 베트남의 경우
Ⅳ. 변방의 이탈-티베트와 몽골의 경우
제2절 신해혁명과 한국독립운동의 본격화
-상하이·난징 지역의 초기(1911~1913) 한인 망명자들과 신해혁명
Ⅰ. ‘중국혁명’과 초기 한인 망명자들
Ⅱ. 우창기의와 위안스카이 토벌전쟁에의 참여
Ⅲ. 쑨원·혁명파 인사들과의 교류
제3절 신해혁명에 참여한 한국인들 1
-김규흥의 광둥廣東에서의 활동
Ⅰ. 중국 망명 이전의 교육구국운동
Ⅱ. 중국 망명과 상하이·난징에서의 활동
Ⅲ. 신해혁명과 광둥군정부에의 참여
Ⅳ. 토원운동과 『향강잡지』의 창간
제4절 신해혁명에 참여한 한국인들 2
-김병만의 허난河南에서의 활동
Ⅰ. 중국 망명 이전 애국계몽운동과 『민권자치제』 번역
Ⅱ. 중국 망명과 허난행
Ⅲ. 허난·산둥 지역 혁명파 인사들과의 교유
Ⅳ. 신해혁명 이후 허난에서의 활동
나오는 말

제2장 1910년대 동아시아의 반제민족운동과 한중연대의 모색(1914〜1919)
들어가는 말
제1절 제1차 세계대전, 파리강화회의와 동아시아 반제민족운동의 고양
-신규식·동제사그룹의 중국 내 청원운동과 한중연대의 모색
Ⅰ. 1917년, 종전에의 전망과 강화회의 참여 준비
Ⅱ. 1918년 12월~1919년 1월, 광둥군정부 방문과 청원서 제출
Ⅲ. 1919년 1월~2월, 베이징정부와 미국 공사관에의 청원서 제출
Ⅳ. 강화회의 관련 청원에 대한 중국인들의 호응
제2절 동아시아 반제민족운동으로서의 3·1운동과 5·4운동
Ⅰ. 3·1운동과 5·4운동의 동시성
Ⅱ. 한국문제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 전환
제3절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 지구지역사상의 의미
-동아시아 지역 민주공화, 반제연대의 출발점
Ⅰ. 근대적 국제도시 상하이 지역의 한인사회 형성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Ⅱ. 상하이 한국임시정부 성립의 동아시아 역사상 의의
나오는 말

제3장 1920년대 동아시아 반제연대와 한중연대의 고양(1920〜1930)
들어가는 말
제1절 임시정부의 워싱턴회의 참석 외교와 중국
-신규식의 광저우 호법정부 방문과 쑨원
Ⅰ. 신규식 광저우 방문의 배경과 일정
Ⅱ. 임시정부 승인 문제와 쑨원의 입장
제2절 1920~1923년 중한호조사의 성립과 한중연대 활동
Ⅰ. 중한호조사의 성립과정
Ⅱ. 상하이 중한호조총사와 우산, 박은식
제3절 임시정부와 동아시아 반제연대
-장저우회의(1920년 4~5월)와 한·중·러 사회주의자들의 반제연대
Ⅰ. 임시정부 성립 직후 소비에트러시아·코민테른과의 접촉과 여운형
Ⅱ. 장저우회의와 여운형
제4절 임시정부와 국민혁명
-여운형의 중국국민당이전대회 참석과 반제연대 활동
Ⅰ. 코민테른에의 접근
Ⅱ. 국민당이전대회 참석과 ‘반제연대’ 연설
Ⅲ. ‘반제연대’로서의 북벌 지원
나오는 말

제4장 중일전쟁 시기의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1931〜1940)
들어가는 말
제1절 중일전쟁 초기 국민정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장기항전에의 “동원”
- 윤봉길의거 이후 김원봉·김구에 대한 지원과 장제스·국민정부의 입장
Ⅰ. 1·28 상하이사변과 윤봉길의거
Ⅱ. 장제스·국민정부의 김원봉·김구 지원과 ‘장기항전’
제2절 중일 전면전쟁 발발 직후 국민정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그 성격
- 조선의용대 창설·운영에 대한 군통·군사위원회의 “지원”과 대적선전전에의 “동원”
Ⅰ. 국민정부의 군사정보기관, 군통의 성립과 역할
Ⅱ. 조선의용대의 창설과 역행사(군통), 군사위원회 정치부의 “지원”
Ⅲ. 조선의용대의 “대적선전전”에의 동원
제3절 중일전쟁 시기 장제스·국민정부의 한국 인식
-한국광복군에 대한 통제와 임시정부 승인 유보
Ⅰ.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장제스·국민정부의 입장
Ⅱ. 임시정부 승인 문제와 장제스·국민정부의 태도
Ⅲ. 한국임시정부 승인 문제와 중미관계
제4절 1941년의 “꿈”
-미국 참전 직전 한국광복군의 국제정세 인식과 종전에의 전망
Ⅰ.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한국청년』, 『광복』의 발간
Ⅱ. 『한국청년』, 『광복』에 나타난 국제정세 인식
나오는 말

제5장 태평양전쟁·국공내전 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의 변동(1941〜1949)
들어가는 말
제1절 카이로회담에서의 한국문제와 장제스·국민정부의 입장
Ⅰ. 장제스 국민정부의 카이로회담 준비과정과 한국문제
Ⅱ. 카이로회담에서의 한국문제와 장제스의 입장
제2절 종전 직전 중미·한미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한국광복군 통제 완화
- 1944년 6월 미국 부통령 월리스의 중국 방문 전후 임시정부의 대미 접근과
국민정부의 한국광복군 통제 완화
Ⅰ. 월리스 부통령의 방중과 중미관계
Ⅱ. 임시정부의 월리스 면담 시도와 비망록 전달
Ⅲ. 국민정부의 대응: 구개준승의 철폐와 임시정부에 대한 “통제완화”
제3절 종전 전후 시기 중미관계와 국민정부의 대한정책
-종전 직전 전후 한국문제 처리 구상과 종전 직후 임시정부 환국 과정
Ⅰ. 종전 직전 국민정부의 한국문제 처리 구상
Ⅱ. 종전 직후 임시정부의 환국 문제와 국민정부의 입장
제4절 국공내전 시기(1946~1949) 국민정부의 대한정책
-국민정부의 둥베이 한인·한반도 관련 정보 수집 노력과 주화대표단
Ⅰ. 둥베이에서의 국공내전과 주화대표단
Ⅱ. 국민정부의 둥베이 한인·한반도 관련 정보 수집과 주화대표단
나오는 말

종장 20세기 전반기 한중관계와 21세기 한중관계와의 연속성
Ⅰ. 이 책의 내용 요약
Ⅱ. 20세기 전반기 한중관계와 21세기 한중관계와의 연속성 문제

참고문헌목록
中文目錄及提要
각 절의 출처
사항·인명 찾아보기
책제원정보
ISBN 9788933708422
판형정보 712쪽 / 175 X 245mm
출판사 일조각
출판일 2024-09-30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20세기 한중관계사 연구
    53,350원

총 주문금액

53,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