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3
Ⅰ부 지역복지에 대한 이해
1장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문제 및 사회복지
1절 지역사회의 개념과 새로운 지역사회 16
1. 지역사회의 개념 16
2. 새로운 지역사회의 이해 25
2절 지역사회의 기능 및 중요성 29
1. 지역사회의 기능 29
2. 지역사회의 중요성 32
3절 지역사회문제와 사회복지 33
1. 지역사회문제의 발생 33
2. 지역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34
2장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범주 및 이념
1절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38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38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특징 40
2절 지역사회복지의 유관용어 42
1. 지역사회조직 43
2. 지역사회개발 44
3. 커뮤니티케어 44
4. 마을만들기 46
5. 지역사회 변화 47
3절 지역사회복지의 범주와 구성요소 51
1. 지역사회복지의 범주 51
2. 지역사회복지의 구성요소 52
4절 지역사회복지의 이념과 원칙 55
1.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55
2. 지역사회복지의 원칙 60
3장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절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64
1.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65
2,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68
3.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71
4.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73
5. 지역사회복지의 개혁기 75
2절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77
1.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이전 82
2. 현대적 지역사회복지 시대 86
Ⅱ부 지역복지 접근방법
4장 지역사회복지의 기초이론
1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99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99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2
2절 사회교환이론과 사회구성론 103
1. 사회교환이론 103
2. 사회구성론 104
3.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06
3절 구조기능론과 권력관련 이론 107
1. 구조기능론과 권력관련 이론 107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2
4절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13
1.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 113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16
5절 사회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117
1. 사회자본이론과 사회연결망이론 117
2.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121
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
1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개요 124
1.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목적 124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역할 124
2절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유형 125
1. 로스만 유형 125
2. 테일러와 로버츠 유형 130
3. 웨일과 갬블의 유형 132
4. 포플 유형 140
5.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선택 및 동향 142
6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실천원칙 146
1. 지역사회복지의실천 원칙 개념 146
2. 지역사회복지의실천 원칙의 중요성 147
2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155
1. 문제 확인하기 155
2. 욕구 사정하기 159
3. 실천계획 및 실행하기 160
4. 평가하기 163
7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기술
1절 지역사회사정 기술 170
1.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필요성 170
2. 지역사회사정 기술의 내용 171
2절 자원동원 및 개발 기술 176
1. 자원동원 및 개발 기술의 필요성 176
2. 인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76
3. 물적 자원의 동원 및 개발 기술의 내용 178
3절 네트워크 기술 179
1. 네트워크 기술의 필요성 179
2. 네트워크 기술의 내용 179
4절 조직화 기술 181
1. 조직화 기술의 필요성 181
2. 조직화 기술의 내용 181
5절 옹호·대변 기술 184
1. 옹호·대변 기술의 필요성 184
2. 옹호·대변 기술의 내용 185
6절 역량강화 기술 188
1. 역량강화 기술의 필요성 188
2. 역량강화 기술의 내용 188
Ⅲ부 지역복지 추진체계
8장 지역사회복지관
1절 지역사회복지관에 대한 이해 196
1.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197
2.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유형 198
3.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 원칙 199
4. 지역사회복지관의 재정 200
2절 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한 이해 201
1. 종합(사회)복지관의 개념 201
2. 종합(사회)복지관의 변천과정 202
3. 종합(사회)복지관의 현황 205
4. 종합(사회)복지관의 주요 사업 207
3절 노인복지관에 대한 이해 209
1. 노인복지관의 개념 209
2. 노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0
3. 노인복지관의 현황 210
4. 노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1
4절 장애인복지관에 대한 이해 211
1. 장애인복지관의 개념 211
2. 장애인복지관의 변천과정 212
3. 장애인복지관의 현황 212
4. 장애인복지관의 주요 사업 213
5절 아동복지관에 대한 이해 213
1. 아동복지관의 개념 213
2. 아동복지관의 변천과정 214
3. 아동복지관의 주요 사업 215
9장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1절 사회복지협의회 218
1. 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기본 이해 218
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22
2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7
1.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 227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기본 이해 230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주요 주체별 역할 234
10장 지역사회복지 물적 자원
1절 공동모금에 대한 이해 240
1. 공동모금의 기본 개념 240
2. 공동모금활동의 모금방법 247
3. 공동모금의 배분유형 248
2절 한국의 공동모금 250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이해 250
2.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방법 251
3.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배분방법 252
4.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모금 관련 통계 254
11장 지역사회복지 인적 자원
1절 자원봉사활동 260
1. 자원봉사에 대한 기본 이해 260
2. 봉사활동의 종류 269
3. 자원봉사 관련 통계 269
2절 자원봉사센터 274
1.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이해 274
2.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277
3. 자원봉사활동기본법 280
12장 자활사업과 경제적 자립 지원조직
1.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282
2. 협동조합 292
3.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302
13장 지역사회의 공공복지 전달체계
1.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308
2. 지역사회 공공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312
3. 희망복지지원단과 통합사례관리 319
4. 드림스타트 326
14장 지역사회보장계획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의의 332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역사 333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특성과 기본방향 334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과정 337
5.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338
6.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절차 340
15장 지역사회복지운동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개념과 필요성 352
2. 주민참여의 개념과 효과 그리고 수준 355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와 유형 362
4.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사회복지사 366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사례와 내용 372
참고문헌 375
저자소개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