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서 론 조선 후기 중앙학계의 학풍 13
제1부 서명응의 학문 활동 25
제1장 생애와 교유 인물 27
제1절 생애 28
제2절 교유 인물 35
제2장 규장각 활동 48
제1절 규장각 기구의 정비 48
제2절 국가적 편찬 사업 60
제3장 저술의 종류와 특징 76
제1절 문집의 종류와 저술 77
제2절 경부(經部) 관계 저술 86
제3절 사부(史部) 관계 저술 106
제4절 자부(子部) 관계 저술 121
제5절 집부(集部) 관계 저술 144
제4장 기자 인식 159
제1절 『기자외기』와 『주사』의 편찬 160
제2절 기자에 대한 인식 172
제3절 기자 사적에 대한 조치 192
제5장 세계지리 인식 204
제1절 선천역의 재인식 205
제2절 우공과 우공익(禹貢翼) 216
제3절 세계지리의 역학적 배치 220
제2부 서유구의 학문 활동 239
제1장 학문 활동 241
제1절 가학의 계승 242
제2절 규장각 활동 249
제3절 관리 생활 256
제2장 지역 인식 266
제1절 중국 : 농정의 모범 지역 268
제2절 경사(京師) : 농정의 주도 및 시험 지역 275
제3절 팔도 : 농정의 시행 지역 282
제4절 사군육진과 도서 : 국토방위 지역 285
제3장 수원 유수 활동 293
제1절 규장각 제학으로서의 활동 294
제2절 화령전과 현륭원의 관리 307
제3절 인사 관리 320
제4절 민생 관리 333
결론 서명응과 서유구 학문의 특징 359
참고문헌 371
글의 출처 378
찾아보기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