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4
1장 탐조의 시작
1. 불현듯 탐조를 시작하다 ··· 12
어느 날 문득 찾아간 한강 / 아파트탐조단 / 산아래아파트 탐조 / 파랑새와의
만남 / 차원이 다른 평택 아파트 탐조
2. 탐조 방향을 잡다 ··· 21
혼자 그리고 함께 탐조하기 / 일과로 탐조하기 / 가까운 곳부터 탐조하기 / 종의
동정과 행동 관찰 / 탐조 장비는 쌍안경이 우선 / 그림도감과 사진도감, 작은
디지털카메라 / 스마트폰은 재간둥이 / 탐조의 매력 / 새의 매력
2장 동네새 탐조
1. 봄, 새소리의 향연 ··· 42
꽃처럼 순서대로 피는 새 / 뒷산과 아파트의 환경 / 소리탐조를 접하다 / 이
봉우리 저 봉우리 새소리 / 드러밍으로 사랑을 부르는 딱다구리 / 새소리는
다양하고 동정은 어렵다 / 새소리를 말로 옮겨 기억하기 / 뒷산 새들의 번식과
영역 활동 / 아파트의 다양한 텃새 / 아파트정원 내 새의 번식 /
검은이마직박구리와의 만남 / 개체수 모니터링 시작
2. 여름, 고요 속의 움직임 ··· 70
아기새 합창 / 매미소리가 새소리를 덮다 / 까치와 물까치의 텃새 / 다시 만난
새와 처음 만난 새 / 여름 막바지 / 아파트 정원의 여름 / 다른 곳 탐조 /
서울의새 모임
3. 가을, 열매를 찾아 동네로 오는 새 ··· 89
되지빠귀 떠나고 노랑지빠귀 오고 / 겨울을 준비하는 새 / 감나무 까치밥 / 새에
대한 예의 / 해마다 다른 새
4. 겨울, 추위를 견디며 봄을 준비하는 새 ··· 102
뒷산 새들의 겨울나기 / 사랑을 시작하는 겨울새 / 겨울에 찾아온 맹금류 /
아파트 새들의 겨울나기 / 겨울에야 만난 새 / 눈 내리는 날 탐조 / 일 년간
개체수 모니터링 결과
5. 불안한 봄 ··· 116
순서 없이 꽃이 피었던 봄 / 다른 생명에 대한 염려 / 기후변화의 위험
3장 다른 장소 탐조
1. 탐조지의 분류 ··· 122
2. 녹지 탐조 ··· 124
도시공원 / 수목원/ 고궁 / 왕릉 / 공동묘지 / 숲 / 농촌 마을
3. 습지 탐조 ··· 152
습지공원 / 하천 / 호수 / 논습지 / 늪 / 갯벌 / 섬 / 해안
4장 새와 함께 살기
1. 좋은 도시 서식지 만들기 ··· 220
한정된 종만 번성하는 도시 / 종의 수와 녹지와의 거리 / 배봉산에서 북한산까지
도로 탐조 / 좋은 녹지를 만들고 연결하자 / 옥상정원
2. 직박구리연못 투쟁기 ··· 228
직박구리연못 / 장미 전정 참가 / 아파트대표회 발표 / 노랑어리연 화분과
논화분 설치 / 녹조와의 전쟁 / 가을 연못 / 다음 해 연못 / 논화분 / 센서캠
3. 곤줄박이 인공새집 ··· 249
인공새집 설치 / 좀처럼 새가 깃들지 않았다 / 곤줄박이의 이소 / 버려진 땅이
좋은 서식지 / 수목소독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 인공새집 재배치 /
인공새집마다 새가 들어오다 / 왜곡된 서식조건의 회복
4. 서식지 보호 ··· 265
수라갯벌 들기 / 가능한 한 그대로 두기
5. 유리창 충돌 ··· 272
청딱다구리의 유리창 충돌 / 산솔새의 죽음
6. 길고양이에 대하여 ··· 276
길고양이가 새에게 치명적일까 / 집비둘기를 물리친 오복이 / 들고양이 문제
7. 집비둘기와의 갈등 ··· 282
집비둘기는 사랑받던 새였다 / 집비둘기는 억울해 / 집비둘기와 함께 살기 /
생태적 거리두기
맺는 글 ··· 292
참고문헌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