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1장. 왜 지금 식량을 걱정하지?
1. 식량 문제를 걱정해야 하는 이유
우리에게 식량은 어떤 의미일까?
복잡하게 얽혀있는 세계 식량 문제
2. 우리 삶에서 식량이 가지는 의미
인류와 함께 발달해 온 식량과 식품
중요한 식량원인 ‘작물’의 다양한 역할
3. 더 먹어도 될까? 덜 먹어야 할까?
식량 산업과 인구 구조, 도시화, 경제 발전, 기후 변화와의 관계
식량은 모두에게 공정하게 분배될까?
2장. 식량은 결국 부족해질까?
1. ‘식량 위기’가 대체 뭔데?
달라진 우리의 식생활
식량 자급이 중요한 이유
식량안보지수 높이기
2. 기후 변화는 식량에 어떤 영향을 줄까?
날씨와 기후
온실가스로 인한 기온 상승이 식량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의 식량은 기후 변화에서 안전할까?
3. 식량 산업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무조건 온실가스를 줄이면 해결될까?
4.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식량 생산 기술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줄이기
벼농사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줄이기
곤충 식량과 스마트팜으로 온실가스 줄이기
5. 식량 위기의 요소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불러온 식량 위기
러시아 침공으로 악화된 식량 위기
식량 위기를 불러오는 요인들을 줄여 나가는 법
3장. 식량 위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1. 소득 수준과 식문화의 변화
우리나라의 식량 소비 성향의 변화와 이유
식량 안보와 삶의 질
2. 식량 관련 정책들
① 식량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역할
② 환율과 금리
③ 에너지 정책이 식량 생산에 미치는 영향
④ 식량 수입국과 국제 환경
기후 변화를 둘러싼 국제 공조
① 2030년, 2050년, 2100년의 시나리오
② 기후 난민
③ 자유 무역과 국경의 역할
자본주의와 식량 산업
① 새로운 종자와 지식재산권
② 종자주권
4장. 식량 위기에서 살아남기
1. 세계 관점에서 바라보기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고려해야 할 기후 변화
2. 우리나라 관점에서 바라보기
식량이 부족하다고? 다양한 식품이 필요해!
허문회 박사가 이룬 ‘녹색 혁명’
식량 자족을 위한 노력
3. 나와 이웃 관점에서 바라보기
탄소세와 푸드 마일리지, 로컬 푸드
4. 식량 위기 극복을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