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그래도 선생님이 희망입니다
1부 새로운 교육을 위한 뜻을 세우다
1장 비관하지 말고 비전을 품자
대한민국 교육, 무엇이 필요한가?
백 년 전 삼형제의 선택
입시가 아니라 입지
세계 명문대는 이런 인재를 원한다
세계 인재의 원조는 대한민국
인공지능은 집단지능이 이긴다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닌 태도
교육과정과 교육경험을 디자인하기
교육혁명의 세 가지 조건
2장 다시 교사로 살아가는 용기
교육에 대한 챗봇의 대답
인생 교육과 인성 교육
교권 회복을 위한 세 가지 통찰
닮고 싶은 스승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주는 사람
실망하지 않고, 내색하지 않고, 짝사랑하듯
교사도 정서적 연결이 필요하다
교직은 숭고한 일이다
2부 무엇을 버리고 어떻게 바꿀 것인가
3장 우리 아이들을 망치는 교육
MAD, SAD, BAD 교육
정떨어진 학교는 비정상
‘입시’라는 집단최면
감정을 누르고 머리 쓰는 법
위로 올라가기 위한 교육
4장 우리 아이들을 살리는 교육
AI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마음건강
숨겨진 트라우마에 주목하기
인스턴트 해결책에 의존하지 않기
중독 예방은 따뜻한 연결
회복탄력성을 가르쳐야 할 시간
무덤 같은 무덤덤함에서 벗어나기
사교육에서 생교육으로
3부 교사와 학생들의
마음건강을 돕는 심리 기술
5장 정신의 힘을 회복하기
정신의 여섯 가지 특징
소중한 것 알아차리기
내가 살아가는 세상, 내가 만들어가는 세계
베스트가 아니라 유니크가 핵심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멘탈이 강해지는 6초의 여유
고마움의 역설
‘행복일기’ 하루 3분의 효과
6장 마음지능 높이기
격한 감정이 일어날 때 살펴볼 것들
마음을 다스리는 법
감정 상처를 응급처치할 감정양호실
모두가 배워야 할 감정응급처치법
감정코칭으로 마음의 문을 열기
엄함과 억압을 구분하기
무엇을 수용하고 허용할 것인가
가짜를 구분하는 진실된 사람
7장 희망을 선택하기
아이는 어른의 축소판이 아니다
진로 선택, 내다보는 대신 들여다보기
진로는 직진하지 않아도 된다
충무공 이순신의 선택법
공유하고 질문하고 경청하기
생각을 열면 희망이 들어온다
서로에게 돌봄을 선물하기
8장 다시 연결하기
신뢰는 관계심리학의 최고봉이다
신뢰를 확보하는 단계
정서통장에 채워야 할 것들
상대하기 어려운 사람 대처법
연결의 대원칙을 고수하기
과배려하지 마세요
마음햇살 보내기
상호의존성을 조금만 줄이기
‘연결실천’ 하는 방법
나가는 글: 미안합니다, 고맙습니다,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