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1. 머리말 13
2. 조선시기와 명청대 향촌지배층의 용어 15
3. 조선시기 士族支配體制와 명청대 紳士制度 23
4.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의 향촌활동 30
5. 맺음말 38
제2장 조선시기와 명청대의 鄕約 시행과 그 성격 비교
1. 머리말 43
2. 양국의 향약 변천과 기능 45
1) 향약 변천의 흐름 45
2) 향약 기능의 변화 51
3. 양국의 향약 시행과 성격 55
1) 명청대 향약 시행 55
2) 조선시기 향약 시행 60
4. 맺음말 67
제3장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1. 머리말 73
2. 조선조 鄕賢 追崇과 鄕賢祠 75
1) 추숭 대상의 확대와 향현 선정 75
2) 향현 추숭과 향현사 건립 사례 80
3. 명대 鄕賢 崇祀와 鄕賢祠 89
1) 숭사 대상의 확대와 향현 선정 89
2) 향현사 건립과 향현의 증가 95
4. 맺음말 101
제4장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1. 머리말 107
2. 양국의 祀典 정비와 淫祀 인식 109
1) 명의 사전 정비와 淫祠 禁毁 109
2) 조선의 사전 정비와 淫祀 제재 117
3. 양국의 城隍祭儀의 正祀 편입과 城隍廟 128
1) 명의 성황묘와 성황신앙의 성격 128
2) 조선의 성황묘와 성황제의의 淫祀化 134
4. 맺음말 145
제5장 朝鲜在地士族与明清绅士的比较研究
前言 153
一、 两国乡村支配层的用语 153
二、 朝鲜的士族支配体制与明清的绅士制度 158
三、 朝鲜在地士族和明清绅士的乡村活动 163
小结 168
제6장 朝鲜前期知识阶层对杭州西湖的想象与其内涵
序言 173
一、 知识阶层向往西湖的历史背景 174
二、 知识阶层获得有关西湖的信息 177
三、 知识阶层对西湖的想象和表达 180
结语:西湖形象的传承 183
부록 중국 북방 기행; 우리 고대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
Ⅰ. 조·중·러 삼국 변경지대를 둘러보고 190
Ⅱ. 해동성국 발해 역사의 현장을 찾아 195
Ⅲ. 북방 선비족의 발원지, 알선동(嘎仙洞)으로 204
Ⅳ. 길림성의 부여 유적지 흔적들 214
참고문헌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