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4
1장 격물(格物)
“역학은 교린(交隣) 사대(事大)하는 데 있어서 그 임무가 지중(至重)하다.” 역학(譯學)
노걸대(老乞大)···22
“제왕의 정치는 역법(曆法)과 천문(天文)으로 때를 맞추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역법과 천문학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성경(星鏡)
신법보천가(新法步天歌)
“형벌이 적중하지 못하여 원통하고 억울한 것을 호소할 데가 없어서 화기(和氣)를 손상하기에 이르니, 진실로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율학(律學)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흠흠신서(欽欽新書)
“산학은 비록 술수(術數)라 하겠지만 국가의 긴요한 사무이므로, 역대로 내려오면서 모두 폐하지 않았다.” 산학(算學)
구일집(九一集)
“국가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처럼 여긴다.” 농학(農學)
농사직설(農事直說)
구황촬요(救荒撮要)
“몸을 다스리는 법도로 백성을 구제하라!” 의학(醫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동의보감(東醫寶鑑)···81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식료찬요(食療纂要)
활인심방(活人心方)
“문무(文武) 두 과거(科擧)는 한 가지만 취하고 한 가지는 버릴 수 없다!” 무학(武學)
진법(陣法)
계축진설(癸丑陣說)
연병지남(練兵指南)
수조홀기(水操笏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2장 수신(修身)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성학십도(聖學十圖)
심경후론(心經後論)
남명집(南冥集)
성학집요(聖學輯要)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
사변록(思辨錄)
* 조선성리학에서 주요 논쟁 소개
3장 치인(治人)
경국대전(經國大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악학궤범(樂學軌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통감(東國通鑑)과 동국병감(東國兵鑑)
만언봉사(萬言封事)
병자봉사(丙子封事)와 남한기략(南漢紀略)
송자대전(宋子大全)
우서(迂書)
성호사설(星湖僿說)과 곽우록(藿憂錄)
경세유표(經世遺表)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만기요람(萬機要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