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2
박경원을 소개합니다 / 4
생존일기 1 하나의 직업, 8번째 직장, 사회복지사
우리의 일은 누군가의 참음으로 시작하고, 기다림에서 완성된다 / 12
그 입장이 아닌데 어찌 이해될까? / 17
누구나 처음은 서툴다 24
해야 할 일을 하기보다 할 수 있는 일만 하고 싶을 때 30
때론 보고도 못 본 척, 모른 척해 주기 / 37
나에게 사회복지사란 밥이다 / 41
첫인상이 중요하지만 첫인상만으로 선입견에 빠지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 / 45
낯섦으로부터 경직되지 않기 위한 일상의 노력 / 49
차관 업무보고, 혼쭐이 나다 / 54
환영받을 생각 마라 / 58
생존일기 2 사회적 문제 해결 위한 분야별 실천사례
차이를 허용하는 정도와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긴장 수준 / 62
행정이 주민력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일본 한신 대지진, 울진 산불의 예) / 67
사회재난은 사회적 약자에게 먼저 찾아간다 / 70
코로나19, K-방역의 한축: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의 긴급돌봄, 심리방역 / 74
복지국가 스웨덴의 사회보장과 여행용 가방 / 78
자비량 일본 나고야 지역복지 학습여행 / 82
인센티브나 패널티 없이도 새로운 복지정책을 실천할 힘, 교육 / 86
없는 것도 없고, 충분한 것도 없다는 복지제도를 새롭게 해석하다 / 90
복지현장에서 마주한 노동쟁의 파업 / 95
사회서비스원법 제정(21.9.24)에 즈음하여 / 100
생존일기 3 어쩔 수 없는 생존형 사회복지사
팀장 하기 싫다는 팀장님들 / 106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님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 111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 114
서울 하늘에 UFO가 나타난다면 어느 부서(부처) 담당일까? / 118
조정 능력은 인격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힘에서도 나온다 / 122
나쁜 것과 더 나쁜 것 중에 덜 나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용기 / 127
힘들다는 것은 진심을 다했을 것이라는 것 / 130
희망을 이야기하면 사기꾼, 절망을 설교하면 X자식 / 133
참는다, 견딘다, 버틴다 / 135
생존일기 4 대한민국에서 사회복지사로 산다는 것
배제가 아닌 연결의 힘으로 문제에 접근하다 / 138
모내기 후 논 말리기(물 공급 중단)를 거쳐야 튼튼한 벼가 자란다 / 143
함께 살아가기 위해 먼저 자신에 충실할 것 / 146
태풍에 문단속 하듯 마음도 잘 단속하기 / 150
모두는 정도와 차이가 있을 뿐 / 154
곁과 편 / 158
하나의 문을 온전히 닫아야 새로운 문을 연다 / 161
악당을 찾지 말고 원인을 찾고, 영웅을 찾지 말고 시스템을 찾아라 / 165
히말라야 설산에 사는 토끼의 오해 / 168
역경에 처한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 / 172
그동안 걸어 왔던 방향을 지키기 위해서 길을 바꿀 수 있는가? / 177
담양 ‘메타세퀴이어 길’과 계기 / 180
■ 에필로그 185
■ 응원의 말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