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편 전환기, 로컬리티 대응과 과제 //
1장 사회문화와 로컬리티
1. 위축대응을 넘어 활력추구로
전환기 인식
활력과 미래 동력
2. 왜 사회문화인가
새로운 문제 대응
전환기 문화소비의 급변
유대감과 공동인식
3. 창발적 전략으로
일상가치, 경쟁력가치
창발적 접근
2장 로컬리티를 담은 문화예술 활동
1. 지역문화와 로컬리티의 연계
독자성 존중
연계적 특성
2. 로컬리티 문화예술 활동
로컬리티 문화예술
로컬리티 제고 기여
3. 활동 전략
전략적 특성화
로컬리티 장벽에 대응
활성화
3장 로컬리티 정책과 기획
1. 로컬리티의 정책가치
사회문화적 이해
수용과 대응 태도
2. 로컬리티기반의 문화정책
논리와 실리
연관 정책
3. 기획과 리더십
문화발전기획
로컬리티기획
지속적 리더십
// 2편 지역동력과 활력 //
4장 문화자원의 가치증진
1. 자원의 가치 자산화
발굴과 활용
로컬리티 자산화
2. 로컬리티 가치 제고
가치연계와 증식
지역의 상표자산화
3 고부가가치화 전략
정책믹스
콘텐츠화
연계활용과 산업화
실감기술 융합
5장 활력견인 인력과 네트워크
1. 지역사회 활성화와 인력
감축사회의 인구
인구와 인력
적정인구 유지
2. 지역사회 문화활력 전문가
활력견인 코디네이터
창조성 리더
3. 전문인력 네트워크
구축
대학과 지역문화
6장 지식공동체 학습활동
1. 공동체 학습과 실천
공동체 학습의 공동인식
실천공동체 참여
2. 테마학습공동체 활동
문제대응 실천
지속발전 학습
3. 로컬크리에이터 학습활동
기술공동체 교육학습
지식공동체 워크숍
// 3편 매력사회 디자인 //
7장 사회기술기반 지능사회
1. 소통역량 증대
소통원활
소셜 커뮤니케이션 향상
2. 생활매력 충만
서비스품질 제고
지속가능 관행
3. 문화활동 역량 확충
문화역량 구축
문화투자 유인
8장 사회자본 가득 안심사회
1. 신뢰위기의 시대
허공에 쌓은 탑
정책으로 가능?
2. 사회자본과 문화정책의 믹스
인적자본과 문화자본
정책믹스
3. 사회자본 구축 전략
사회목적으로 통합
정책의제 선
9장 건강행복의 인본사회
1. 안전사회 시스템
코로나19팬데믹의 유산
안전안심의 사회문화
2. 사회문화적 의료공동체
인본주의 의료시스템
문화예술로 힐빙
행복한 생활문화
3. 매력있는 커뮤니티
사회시스템 보완
친환경 모빌리티
// 4편 지속발전 공진화 //
10장 정책의 맥락성, 네트워크
1. 지자체 정책의 맥락성
단절과 돌발적 등장
지속발전을 위한 맥락성
2. 정책네트워크
정책네트워크의 관리
지식정보 네트워크
3. 문화공유 맥락과 협력
문화거버넌스
협력파트너 커뮤니티
11장 창발적 혁신
1. 창조성을 넘어서
‘창조도시론’이 남긴 것
시스템 보완
사회문화적 유동성
2. 창발성 가치 내재화
창발성 논리와 기조
창발거점 갖추기
3. 창발기획 혁신
창발적 콜라보레이션
통합적 혁신
12장 융합융화적 공진화
1. 전환기, 지속가능 생태계
지속발전 담보
공진화 가치의 극대화
2. 문화창조분야의 관계전략
문화창조분야의 융합과제
공진화 구축
3. 관계융합 공진화
긴밀한 관계
관계융합으로 공진화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