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다민족 국가와 다문화사회
1. 들어가며
2. 세계화와 ‘새로운 이민(New Immigrants)’
3. 누가 한국인인가?: 전지구화시대 국민과 민족의 재구성
4. 폐쇄적 민족주의에서 열린 다문화사회로
제2장 이주공동체 형성의 이론과 유형
1. 공동체의 재인식과 이주공동체 형성
2. 이주공동체 이론
3. 이주공동체 유형
4. 사회통합에서 시민통합으로
제3장 이주와 이주여성공동체
1. 국제이주와 여성 이주
2. 국내 여성 이주의 다양성
3.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경험과 사회적 관계
4. 결혼이주여성과 공동체
5. 이주여성공동체의 특성과 역할-대구ㆍ경북의 경우
제4장 이주노동자공동체의 특징과 역할
1. 이주노동자의 개념과 법적지위
2. 이주노동자 정책과 이주노동자운동
3.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 지원단체
4. 대구ㆍ경북지역의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특징과 역할
5. 결론
제5장 불교와 불교 이주공동체
1. 한국의 불교 이주공동체
2. 불교와 이주민
3. 불교의 이주민지원정책
4. 대구ㆍ경북의 불교 이주공동체
5. 불교 이주공동체의 역할과 대안
제6장 이슬람과 무슬림 공동체
1. 한국 무슬림 공동체의 적응과 갈등
2. 한국 이슬람의 역사
3. 대구ㆍ경산 지역의 모스크
4. 대구ㆍ경산 지역의 무슬림 유학생 공동체
5. 대구 이슬람사원 건립을 둘러싼 갈등
6. 종교 갈등의 해결 방안
제7장 사할린 한인 1세의 귀환이주공동체
1. 사할린 한인 1세의 역사와 귀환
2. 사할린 한인 1세의 이주의 역사
3. 사할린 한인들의 귀환 과정과 귀환 이주공동체 형성
4. 경북 고령 대창양로원의 설립 과정
5. 영주귀국과 경계인의 삶
6. 사할린 한인 1세의 귀환과 정착 과정의 문제점
제8장 고려인 밀집지역의 이주공동체 형성과 사회통합
-경주 성건동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고려인 이주와 귀환
3. 가족의 연쇄 이주와 정주화
4. 경주 성건동 고려인 마을의 공간적 특성과 고려인 공동체
5. 나오며
제9장 이주공동체와 질병
1. 이주민과 질병
2. 이주민의 건강권
3. 세계화와 코로나19의 발생
4. 결론
제10장 한국 사회의 인종주의 현상과 특징
1.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단일민족주의
2. 인종주의의 역사
3. 한국의 내재화된 인종주의
4. 한국 사회에서의 인종주의
5. 인종적, 민족적 소수자 차별의 원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