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편 소방검사 연구의 기초
제1장 소방의 의의
1. 소방의 개념 및 목적
1.1 소방의 개념
1.2 소방의 목적
2. 소방의 발전과정
2.1 소방조직의 발전
2.2 지표로 보는 소방업무 확장
3. 현대사회에서의 소방의 역할
3.1 새로운 위험의 부상과 특징
3.2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소방의 역할
제2장 소방검사의 의의
1. 소방검사의 개념
1.1 소방검사의 의의
1.2 소방검사의 목적 및 필요성
2. 소방검사의 법적 성질
3. 소방검사의 변천과정
제3장 소방검사의 연구 접근법
1. 사회학적 관점
2. 법학적 관점
3. 행정학적 관점
제2편 한국의 소방검사제도
제1장 화재안전조사
1. 화재안전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2. 화재안전조사의 주체와 객체
3. 화재안전조사의 대상 선정 및 조사항목
3.1 화재안전조사 대상 선정
3.2 화재안전조사위원회 구성 및 운영
3.3 화재안전조사 항목
4. 화재안전조사의 시행절차 및 방법
4.1 화재안전조사 시행절차
4.2 화재안전조사 시행방법
5. 화재안전조사 결과 조치명령
5.1 화재안전조사 결과 보고
5.2 조치명령
제2장 소방시설 자체점검제도
1. 소방시설의 자체점검의 의의
2. 소방시설 자체점검제도 도입 배경
3. 소방시설 자체점검제도의 변천과정
4. 현행 소방법상 자체점검제도
4.1 법적근거
4.2 자체점검의 운용 방법
4.3 자체점검 주체별 분류
제3장 위험물 제조소등 소방검사
1. 위험물과 위험물시설
1.1 위험물의 개념
1.2 위험물시설의 개념
2. 위험물시설의 안전관리
2.1 위험물 화재의 위험성과 특수현상
2.2 위험물시설의 안전관리 실태
3. 위험물제조소등의 소방검사
3.1 정기점검 및 정기검사
3.2 출입검사
3.3 부정기 검사
4. 소방기관의 검사 결과 조치사항
제4장 소화활동 자료조사 등
1. 소화활동 자료조사
1.1 목적
1.2 자료조사자 자격
1.3 소화활동 자료조사 계획
1.4 소화활동 자료조사 실시
2. 소방용수⋅지리조사
2.1 목적
2.2 소방용수 및 지리조사의 횟수 및 방법
제3편 선진 외국의 소방검사제도의 이해
1. 미국의 소방검사 제도
1.1 소방행정체계
1.2 소방 관련법 체계
1.3 소방검사제도
2. 일본의 소방검사 제도
2.1 소방행정 및 소방 관련법 체계
2.2 소방검사제도
3. 영국의 소방검사제도
3.1 소방행정체계
3.2 주요 소방업무
3.3 화재안전관련 법규
3.4 소방검사제도
제4편 소방시설 점검 실무
제1장 화재와 소방시설
1. 화재의 정의
2. 화재의 분류 및 특성
2.1 국내⋅외 화재의 분류
2.2 화재 종류별 특성
3. 연소와 소화원리
3.1 연소의 4요소
3.2 소화원리
4. 소방시설의 종류
4.1 소방시설의 개요
4.2 소방시설의 종류
제2장 소방시설별 특성 및 점검요령 _
제1절 소화기구
1. 소화기구의 종류 및 특성
2. 소화기구별 점검 방법
제2절 수( 水) 계 소화설비
1. 옥내⋅외소화전 소화설비의 특징 및 점검요령
2.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특성 및 점검요령
3. 포소화설비의 특성 및 점검요령
4. 수계소화설비 유지관리
제3절 가스계 소화설비
1 가스계소화설비에 대한 이해
2. 가스계소화설비의 종류 및 특징
3.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요령
4. 가스계소화설비 유지관리
제4절 소화활동설비
1. 제연설비의 특징
2. 거실제연설비
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제연설비
4. 제연설비의 점검요령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