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_예술-다중
1. 현시대 춤과 주체
2. 노동·정동·다중
3. 누구나 예술가, 모든 것이 예술인 시대
4. 공동체
2장_춤과 춤꾼의 정치사회적 역할
1. 도시에 대한 권리와 자주관리
2. 현시대적 함의
3. 실천 가능성
3-1. 마주침과 공통감
3-2. 부산의 거리 춤
4. 춤-춤꾼의 정치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며
3장_춤 공간의 사회적 생산
1. 공간정치-예술정치
2. 차-등
3. 그 생산을 위한 실천
3-1. 르페브르
3-2. 그람시의 실천
3-3. 춤추는 몸-주체
4. 부산 소녀상 지키기 춤 공연
5. 창조적·저항적 실천으로
4장_삶의 작품화
1. 몸짓-퍼포먼스
2. 무가치한 예술
3. 마당에서 극장으로, 극장에서 거리로
3-1. 마당
3-2. 극장
3-3. 거리
4. 거리의 확장
4-1. 공간실천
4-2. 견딜 수 없는 아름다움
5. 운동체적 몸-주체의 예술실천
5장_미래의 순간적 현전
1. 새로운 인식적 지도
2. 마주침, 차이의 정치-도시혁명
3. 차이의 공간
3-1. 우발적·개방적·유동적 마주침
3-2. 친친탱고와 랄랄라 스트라다
4. 불가능한 가능성
6장_부산 발레와 공공성
1. 발레-공공성
2. 권리를 가질 권리 그리고 인간의 조건
3. 부산 발레 공공성과 부산오페라하우스
7장_부산 춤 생태 민주주의의 가능성
1. 부산 춤 생태계의 위기에 대한 진단
2. 생태적 주체성과 생태 민주주의
3. 자본주의적 공간화: 도시 부산과 부산 춤 생태계
3.1. 대학 무용과 무용 동인단체의 몰락: 일차적 자본주의적 공간화
3.2. 인력시장의 변동: 이차적 자본주의적 공간화
3.3. 교육시장의 신자유주의적 재편: 삼차적 자본주의적 공간화
4. ‘리좀’적인 부산 춤 생태 민주주의 향해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